환경부는 24일 '환경분야 일자리 창출 대책'을 내놓고 환경산업 육성과 환경보호 활동 강화를 통해 내년에 약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환경부는 2013년까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운영과 온실가스관리 전문교육과정 개설 등을 통해 환경산업을 이끌어 갈 분야별 전문인력 1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현재 환경산업은 2006년 29조원에서 2012년 67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지만 기후변화대응, 화학물질 관리 등 신성장 산업분야의 기술 수준이 낮고, 산업을 선도할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환경부는 환경융합기술, 토양오염방지기술 등 성장가능성이 높은 유망 환경산업과 기술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국내 환경산업의 해외수출을 지원함으로써 1만2623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내년도 환경 R&D 분야에 1970억원의 국고를 투자하고, 재활용 산업의 육성을 위해 융자금 65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자연환경조사 및 생물자원 확보 사업을 통해 생물자원을 조사하고 분류하는 분야의 일자리도 늘어난다.
환경부는 또 2012년까지 폐기물의 31%를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57개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시설의 설계·건설·관리·운영 등의 분야에서 2567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에 '기상산업진흥법'을 제정해 기상사업자를 체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기상서비스 분야 일자리를 연간 200개 정도 창출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자동차의 보급대수를 3만대로 확대하고, CNG 충전소 등 기반을 확충함으로써 A/S와 충전소 등 서비스 분야 일자리를 1000여개 만들 계획이다.
그 밖에 환경보호와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통해서도 1만1527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하수관거 정비 및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사업에 정부예산과 함께 민간투자를 확대하고, 축산분뇨·폐수처리시설 등 물환경 분야의 기초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외계층과 지역주민들을 참여시켜 하천과 하구에 적치된 쓰레기를 정화함으로써 지역의 일자리를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내년에 115억원의 예산을 투자하고, 13개 전문교육·훈련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1382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산업입지 기준의 선진화와 전문 업종별 인력양성사업과 기술자격요건의 연계, 환경친화적 유인 제도를 도입해 환경분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