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직접 승용차 대신 자전거를 시승하는 등 홍보활동을 통해 에너지 절약을 몸소 실천하고 있지만 경주지역의 홍보와 지원 수준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 사망률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는 경주의 도심에서 자전거 이용은 라이더들의 위험부담을 안겨주고 있어 체계적 지원·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용자들의 지적이다. 24일 경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94년부터 235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경주 지역에 자전거도로 146km를 확충했다. 또 2236대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소 25개소를 설치하는 등 인프라를 조성했다. 하지만 현재 경주시민들의 접근이 잦은 도심은 자전거 도로와 보관소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있더라도 단속·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용자들이 자전거 이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전거 이용자들은 도로 위에선 차량으로 인해 안전의 위협에 시달리며 인도에서는 보행자들의 보행권을 침탈해 어찌해야 할지 갈팡질팡 혼란을 겪고 있다. 시민 A씨(36)는 “시내에 자전거를 타고 나갈 때면 늘 불편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라며 “자전거도로가 없는 것은 물론 인도까지도 차량들이 주·정차해 놓을 때면 위험을 무릅쓰고 도로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도심 내에 자전거 보관소마저 없어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아무 곳에나 세워두고 있는 실정이다”며 “여기저기 세워둔 자전거로 인해 도심의 미관이 흐트러지는 것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이에 시 관계자는 “자전거 이용자들의 어려운 점은 잘 알고 있다”며 “자전거 도로는 예산만 확보된다면 내년 중으로 삼릉 가는 길의 포석로와 무열왕릉 대구로 일대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할 예정에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자전거 보관소에 대한 준비는 현재까지 마련되어 있지 않다”며 “학교나 도서관, 일반 아파트 등 개별적 보관소와 현재 설치된 보관소만 파악하고 있을 뿐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주시는 지역 내 성업 중인 자전거 대여 업소에 대한 실태파악을 하지 않은 상태며 자전거와 관련된 교통정책은 현재까지 준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