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 범 불교도 대회가 11월1일 대구에서 열린다.
대한불교 조계종 종단 전국교구본사 주지들은 26일 회의를 열고 대구·경북대회를 비롯한 전국 지역별 범불교도대회를 예정대로 봉행키로 했다. 대구·경북대회의 성격과 방향은 종단 집행부와 해당 지역 범불교도대회 봉행 소위위원회가 협의해 결정한다.
이를 위해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소속 27개 종단과 신행포교단체, 불교 NGO 단체가 망라된 범불교대책위와 지역별 범불교대책위도 조직된다.
이날 회의에서 본사 주지들은 “사회통합과 각종 차별 철폐, 공동체 정신 회복을 위한 활동을 중단할 수 없다”며 “향후 각 지역별 대책위 출범을 순차적으로 계속할 것”을 결의했다.
8·27 범불교도대회에서 결의한 대정부 4대 요구사항도 정리했다. ‘이명박 대통령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과 관련해서는 “9월9일 국무회의에서의 대통령 유감 표명의 진정성은 이전보다는 긍적적으로 보며, 향후 종교편향 재발방지 대책과 향후 정부의 입법조치 및 방지노력에 따라 평가한다”고 밝혔다.
또 ‘어청수 경찰청장 등 종교차별 공직자 파면과 엄중문책’에 대해서는 “요구안이 여전히 유효하며 향후 대중들의 의견을 모아 대구·경북대회 이후 방침을 결정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종교차별을 금지하는 법제도화 추진’ 문제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에서 이번 정기국회까지 반드시 관련법을 개정하여 종교편향 행위가 근절되도록 노력한다”, ‘시국관련자에 대한 국민대화합 조치’ 역시 “국민화합과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더 이상의 분열과 갈등이 종식되어야 하는 만큼 정부의 대승적인 조치를 거듭 촉구한다”로 갈피를 잡았다.
지관 총무원장은 “일부 극성 종교인들이 불교를 폄하하거나 또는 이웃 종교인들의 신앙대상 상징물을 파손시키는 일을 오래전부터 해왔고, 근간에 와서는 그 도가 너무 지나쳐서 보다 못해서 여법하게 8·27범불교도대회를 치렀다”면서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정리도 해야 되고 새롭게 걸어갈 방향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