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해 맑고 깨끗한 신뢰성 있는 수돗물 공급에 나섰다. 이를 위해 구미시 상하수도사업소는 수돗물에 대한 불신해소 및 수돗물품질보고서와 관련해 전 시민을 대상으로‘수돗물에 대한 시민의식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1일부터 16일까지 시 홈페이지 설문란을 이용한 이 조사에는 시민 338명이 응답했으며 수돗물에 대한 시민의 신뢰성, 수돗물품질보고서 발간에대한 시민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수돗물이 식수로 적합하다는 의견이 57.8%에서 66%로 높아져2005년 환경부에서 조사한‘전국민 여론조사’결과보다는 신뢰도가 향상 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수돗물을 끓여먹는다든지 정수기를 사용해 식수로 사용하는 비중이 80%로 수돗물을 그냥 마신다는 2%에 비해 월등히 높아 수질을 위해 아직도개선 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 됐다. 기피하는 주된 원인은 소독냄새(39%), 물 맛(36%), 녹물(13%), 이물질(12%)로 조사됐다. 시민들의 수돗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엄격한 수질검사(29%), 수도시설의 고급화, 선진화(24%), 정수처리과정의 공개(22%), 상수원오염방지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시민들이 생각하는 수돗물 오염의 원인은 관로나 물탱크에서 오염(47%), 상수원의 오염심화(27%), 정수시설의 노후화(19%)로 파악됐다. 한편 수돗물품질보고서 등 수질검사결과 공표는 매체를 다양화 하여 젊은층이 선호하는 인터넷과 중?장년층의 지역신문, 시정소식지 등에 다양하게 게재될 수 있도록 적극적 홍보방법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시민의 자유 의견을 묻는 것에서는 노후 상수도 배관의 교체와 철저한 수질관리, 상수원 관리 강화의 의견이 주류를 차지했으며 수도사업 민영화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내는 의견도 조사됐다. 전차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