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발족하는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경주지역의 최대 현안인 한수원 본사 문제를 풀수 있는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에서 업무가 분리되는 방폐물관리공단은 직원 250~300명에 기금이 7조3천억원에 달하고 매년 3천억~5천억원의 기금이 적립되는 거대 공기업으로 당초에는 서울이나 경기도에 설립되는 것이 유력했다.
당초 중저준위방폐장 결정 당시 정부가 한수원 본사를 인센티브로 제시한 것처럼 고준위방폐장 선정시 인센티브로 제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졌다.
이에대해 경주 시민들은 방폐장 인센티브로 받은 한수원 본사 기능 가운데 방폐물 관리업무를 빼내는 것은 경주시민을 우롱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이런 가운데 정종복 전 의원을 비롯한 시도의원 등 정치인들과 시민단체들의 노력으로 방폐물 관리공단은 경주 이전으로 거의 굳어진 상황이다.
지난 2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의 경주 유치와 관련해 한나라당 강석호 의원(영양-영덕-봉화 -울진)의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경주로 오는 만큼 당연히 공단도 경주로 와야 하는데 딴 곳으로 간다는 루머가 있다.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경주에 간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한수원 본사, 방폐물관리공단 2개 공공기관을 놓고 반목을 거듭하고 있는 시내권과 동경주권이 대타협을 이뤄 방폐장 경주유치 효과의 실제적인 진전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성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