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각하는 상환부담이 있는 외채는 2680억 달러 정도로 현존하는 만기구조나 외환보유고 형태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은 5일 정부과천청사 재정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체 대외채무 4198억 달러 가운데 1500억 달러 정도가 실질적 상환부담이 없는 외채로 외환위기 당시와는 다르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신 차관보가 밝힌 6월 기준 4198억 달러의 외채는 정부부문 부채 631억 달러, 국내은행 1274억 달러, 외국은행의 국내지점 외채 831억 달러, 비은행 금융 280억 달러, 공기업 94억 달러, 민간부문(기업) 1088억 달러로 구성돼 있다. 이중 831억 달러에 달하는 정부부문 부채는 외국인의 국고채나 통화안정증권 매입 부분으로 원화로 상환하면 되기 때문에 부도 위험이나 유동성 문제는 없다는 것이 신 차관보의 설명이다. 또한 국내은행의 외채 1274억 달러에 대해서도 신 차관보는 "외화대출 487억 달러, 수출신용 254억 달러, 수입신용 256억 달러로 선물환 부분은 300억에서 400억 달러 정도로 추정된다"며 "선물환 부분은 나중에 달러가 유입되는 것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외국은행의 국내지점과 공기업 부문의 외채에 대해서도 "외은지점은 본점으로부터 차입한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책임질 문제는 아니고 공기업 부문은 정부 신용이 있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말했다. 이어 신 차관보는 기업부문의 1088억 달러 외채 가운데 509억 달러는 수출 선수금이라고 밝히며 "수출 약정 후 미리 돈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통계로는 외채지만 상환 부담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71억 달러의 대부투자금도 외국 투자기업이 본점에 장기 차입하는 것으로서 사실상의 투자이기 때문에 상환부담이 없다고 강조했다. 결국 전체 외채 4198억 달러 중 1518억 달러는 실질적 상환부담이 없는 외채이기 때문에 나머지 2680억 달러 정도가 우리에게 부담이 되는 외채라는 설명이다. 이러한 외채에 대해서도 만기가 한 번에 도래하는 것이 아니고 외환 보유고도 2400억 달러에 달하는 만큼 외채 상환 문제는 없다는 것이다. 한편 신 차관보는 외환보유액의 가용 규모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상당한 금액이 일주일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내용"이라며 "2400억 달러 모두가 짧은 기간에 가용할 수 있는 외환보유액"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