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으로 나가는 골퍼들을 붙들어 매보겠다는 지방 골프장 세금완화나 골프장을 만들려고 그린벨트의 형질변경을 허가하는 정책이 가관이다. 산림에 골프장을 건설하려면 산을 파헤치고 페어 웨이에 걸림돌이 되는 나무를 뽑아내야 한다. 잔디를 보호하려면 농약과 제초제, 살충제를 뿌려야 한다. 오염된 물은 바다로 들어가고 개펄을 더럽힌다. 수산물을 먹는 국민들에게 좋을 리가 없다. 우리나라에서 골프장의 연간 전체 내장객은 1800만 명이지만, 치는 사람들이 늘 치는 것이므로 골프인구는 200만~300만 명이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골프장 건설은 결코 대중화 될 수 없는, 5~6%의 국민인 골퍼를 위한 국토 파괴인 것이다. 요즘엔 골프장도 ‘친환경’을 강조한다. 그러나 말이 좋아 친환경이다. 자연은 사철 다른 빛깔로 옷을 갈아 입는다. 이런 ‘자연 공원’을 불도저로 밀어버리고 연못을 파서 물을 담고 모래를 깔고 보기 좋게 관상수를 심는다고 친환경은 아니다. 경제면에서의 골프장 증설 명분은 해외로 나가는 골프여행객, 해외의 골프인구를 국내로 흡인하고 지방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지금 전국에서 운영 중인 골프장은 277개이며 계획 중인 것을 합치면 600여개나 된다. 그런데 골프장 손님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1곳당 내방객 수는 줄고 있다. 골프장도 빈익빈 부익부다. 한국의 골프장은 국제경쟁력이 없다. 겨울에는 라운딩이 불가능하다. 한국인을 대환영하는 골프장이 일본과 중국, 필리핀, 태국에 널려 있다. “무제한 라운딩’, ‘2박3일 54홀……” 요즘 일간지 광고가 골퍼를 유혹한다. ‘한국은 한국이고 외국은 외국’임을 입증하는 광고이다. 환경을 파괴하는 골프장 증설은 경제를 보아도 정답이 아니다. 차원이 다른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도 당국의 골프 정책은 희한하게 실패한 좌파 정권의 정책을 빼다 박은 꼴이다. 정책 입안자들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인가? 혹은 그들이 골프를 좋아하기 때문인가? 대중과는 생각하는 게 달라 보인다. 기름값, 학원비, 각종 세금, 그리고 물가고에 국민들은 시달리고 있다. 그런데 골프장에 먼저 마음 쓰는 정부를 대다수 국민들이 선뜻 지지하고 싶을 리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