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은 현재의 금융 불안으로 벤처투자가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모태펀드의 확대운용을 통한 벤처투자 활성화할 방침이라고 15일 밝혔다.
우선 모태펀드를 신축적으로 운영, 유망 중소·벤처기업이 경기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금 등의 활발한 벤처투자 분위기를 조성해 얼어붙은 벤처투자 심리를 회복시킬 계획이다.
또 KIKO 피해기업에 대한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KIKO(Knock-In Knock-out)란 환율이 약정 기간(1~2년) 사이 일정 폭 안에서 움직이면 일정 금액의 달러를 시장 환율보다 높게 은행에 팔 수 있도록 설계된 파생금융상품을 말한다.
이는 최근 미국발 금융불안과 경기침체로 인해 연기금·은행 등 기관투자가들이 벤처펀드 출자를 미루고 있고, 특히 코스닥 시장의 침체로 투자회수가 어려워지면서 펀드결성이 어려워지는 시점에서 나온 대책이다.
이미 올 1~8월 중 벤처펀드 결성규모는 547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간 6471억원에 비해 18.9% 감소한 실정이다.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대책의 주요 내용은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방안'에 따라 올해 모태조합 운용계획을 변경, 올해의 모태펀드 출자목표를 상향조정했다.
이에 따라 모태펀드 출자 사업규모도 하반기 예정된 당초 600억원보다 400억원이 증가한 1000억원 규모로 시행될 예정이다.
아울러 벤처펀드에 대한 정부의 지원비율을 확대, 연기금 등의 벤처투자에 대한 위험부담을 줄여주고 벤처펀드 결성을 촉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모태펀드 출자비율을 기존 30% 이내에서 40%이내로 확대하고 창업초기 전문투자 등 정책목적성 펀드에 대한 출자비율도 10%씩 상향조정, 최대 60%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펀드결성에 6개월정도 소요되는 점을 감안, 정책의 효과가 바로 나타날 수 있도록 현재 공고중인 사업에 대해서도 개정된 지원비율을 즉시 적용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중기청은 연기금 등의 벤처펀드 출자가 허용되도록 관련 부처와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할 방침이며 벤처펀드에 대한 출자가 법적허용에서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투자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기청장이 이달 말에서 다음달 초께 연기금 최고책임자와 자산운용 담당자를 직접 만나 대화를 통해 벤처투자의 중요성을 설득하고 안정적인 벤처투자를 위한 협조를 당부할 계획이다.
또 다음달 중 모태펀드 출자조합이 투자한 KIKO 피해기업에 대해 벤처캐피탈이 공동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최근 원화가치 하락으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KIKO 가입기업.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으로 흑자도산의 위협을 느끼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모태펀드가 출자한 조합의 여유자금을 KIKO 피해기업중 비상장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모태펀드= 정부재정 4000억원 등 총 1조원 규모의 펀드가 조성돼 오는 2035년까지 30년간 운용 된다 한국모태펀드의 투자대상은 창업투자조합 한국벤처투자조합 기업구조조정조합 사모투자전문회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