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구직자들이 취업난을 호소하고는 있지만 '기피하는 직종'은 여전히 정해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구직자 4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85.9%(384명)가 취업을 기피하는 직종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20대(88.0%)와 30대(90.8%)의 연령층이 40대 이상(60.0%)에 비해 기피 직종 있단 응답률이 현저히 높았다. 직종별로 살펴보면 ‘영업직’(18.8%)을 피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런 현상은 구직자의 학력조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초대졸’(14.6%), ‘대졸’(25.1%), ‘석·박사 이상’(21.1%)의 구직자에게서는 기피한다는 응답이 높았던 반면 ‘고졸 이하’(2.3%)는 소수에 그쳤다. 2위는 ‘생산직’(10.2%)이 차지했으며 이어 ‘단순노무직’(7.6%), ‘보험영업직’(6.3%), ‘텔레마케터’(5.5%), ‘서비스’(5.2%), ‘건설현장직’ (4.7%), ‘판매직’(3.4%), ‘계약파견직’(2.9%) 등이 뒤를 이었다. 특정 직종을 기피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비전이 없어서’(20.8%)와 ‘적성에 맞지 않아서’(19.3%)라고 답한 구직자가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업무가 과중해서’(15.6%), ‘보수가 적어서’(12.2%) 등의 이유가 있었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구직자들이 직종을 선택할 때 금전적인 측면보다 비전이나 적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