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수 국무총리는 28일 최근의 금융위기와 관련 "한 푼의 달러라도 아껴써야 한다"며 "외화절감 위해 공공부문부터 불요불급한 해외출장을 삼가해달라"고 지시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8시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제45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선 공공부문부터 고통분담 차원에서 솔선수범해 군살을 빼고 지출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민간 금융기관에 대해서도 외화채무의 지급보증·원화유동성 공급조치와 연계해 임직원 보수 합리화 등 경영효율화 방안을 반영하도록 해달라"며 "정부의 지급보증이 불가피한 시점에서 이에 상응하는 요구는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정부는 민간금융기관에 대해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금융공기업과 달리 경영간여 최소화원칙을 지켜왔다"며 "하지만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임직원의 보수를 제한하는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은 금융기관과의 양해각서 체결 등을 통해 조치를 하라"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정부는 이미 공무원의 보수와 정원을 동결하기로 했다"며 "여타 공공부문도 보수와 정원 동결을 포함한 보다 과감한 경영효율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번 국회 국정감사에서 공기업의 방만경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공부문이 군살 빼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이어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확보된 예산을 연말에 급하게 사용하는 낭비성 예산 집행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며 "지방정부와 중앙정부는 억지로 예산을 쓰려고 하지말라"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어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밝혔듯이 현재의 위기는 해외에서 시작됐지만 우리 경제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대외적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그 파급이 우리의 수출과 소비 등 실물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는 실물경제 위축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각종조치를 취했고 별도의 종합대책을 준비 중"이라며 "하지만 장기전에 대비해 훨씬 광범위하고 다양한 수단을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