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을 이끌어 내고 경상수지가 호전되는 등 시장에 일부 호재가 등장하고는 있지만 실물경기는 우리 경제를 또다시 옥죄는 악재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4일께 국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내수를 활성화할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금융 외환시장 안정화' '규제완화' 등 3부분으로 이뤄진 종합경제대책을 발표하고, 불안심리에 쐐기를 박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통화스와프도 정부의 대책도 일시적 대증요법에 지나지 않을 뿐아니라 금융위기가 지나가고 나면 깊고도 험한 실물경제 불경기가 엄습할 것이란 전망이 시장에서 우세하다.
지난달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9월 및 3.4분기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중 소비재판매액(계절조정) 지수는 108.5로 전월 대비 3.8%, 전년 동월 대비 2.0% 감소했고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는 각각 8개월과 10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는 경기하강과 일자리 감소, 실업증가, 가계소득 감소는 소비둔화로 이어지는 상당한 원인이 됐고, 우리 경제가 수출 중심의 체질을 가진데 반해 수출시장인 세계시장은 침체의 깊은 늪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또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서도 제조업체의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11월 업황전망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65로 10월 전망치(78)보다 13포인트 떨어졌다. 외환위기 이듬해였던 1998년 4분기(10∼12월)의 5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BSI 전망치가 100을 넘으면 한 달 후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은 그 반대다.
지식경제부와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제조업 BSI 조사에서도 4분기 전망치가 78로 나와 통계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글로벌투자은행 UBS는 내년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2.9%에서 1.1%로 하향 조정했다. 앞서 UBS는 지난 10월 7일에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3.5%에서 2.9%로 낮춘 바 있다.
최근 글로벌 실물경제 침체 상황을 반영,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한 달도 안돼 다시 낮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