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직접 대화 의지를 피력한 민주당 버락 오바마 일리노이주 상원의원이 제44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됨에 따라 북미관계를 통해 남북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남북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오바마 당선인은 북한과 직접 대화 및 협상을 통한 대북 정책 의지를 피력했다. 더 나아가 평양-워싱턴간 '외교대표부' 설치 및 직접 대화를 조기 추진하는 등 2012년까지 북미 정상회담 및 북미 수교, 종전 선언에 이르는 대북 로드맵을 작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차기 미 행정부는 부시 행정부와는 달리 대북 포용 정책을 펼치며 북미 관계를 빠르게 진전시켜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미국의 입장을 환영하고 이른바 '통미봉남(通美封南·미국과만 협상하고 한국을 봉쇄한다)' 정책을 펼친다면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심지어는 주변열강 틈바구니에서 한국을 따돌리는 '코리아패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럴 경우 이명박 정부의 향후 5년동안 남북관계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수 있으며, 남북 경협과 이산가족 및 군국.납북자 문제 등 해결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들은 한미동맹이 공고하기 때문에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뭐가 통미고, 뭐가 봉남인지 모르겠다. 한미가 같은 배를 타고 함께 가고 있는데 왜 자꾸 분리해서 생각하는가"라며 "그런 선입견을 갖지 않아도 될 만큼 한미관계가 공고하고 우리 국력도 (미국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는 정도 아니다"고 항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북 전문가들은 현재 남북관계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 남북관계는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북미관계가 좋아지면 북한이 한국의 대북정책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변할 때까지 버틸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최강 외교안보연구원 미주연구부 교수는 "남북관계는 현재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도 미국 신행정부의 대북정책을 관망할 것이고, 남북대화 중단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면서 우리 정부를 압박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