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과 관련해 현대·기아자동차가 악영향 보다는 한국자동차 산업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는 KOTRA 등이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의 보호무역주의 영향으로 국내 자동차산업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과는 차이가 있어 눈길을 끈다. 현대·기아차는 7일 “오바마 당선자의 경기부양에 대한 의지를 볼 때 한국 자동차산업에 오히려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전망 근거로 현대·기아차는 “조속한 정책 집행을 통한 경제위기 극복이 현재 세계 자동차산업의 가장 큰 문제인 시장 축소를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 “최근 미국 자동차 산업이 극심한 침체기를 겪고 있는데, 차 판매는 12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고, 올해 산업수요는 지난해보다 약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된다”고 말했다. 때문에 현대·기아차는 전미자동차노조(UAW)의 강력한 지지를 업고 당선된 오바마 정부가 결국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과감한 경기부양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현대·기아차는 전체 매출의 60~70%를 수출에 의존하고 있고, 그 중 30%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만큼,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국 자동차 판매 활성화는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세계경제 연동화가 심화되고 있어 미국시장이 안정되면 나머지 70%에 해당하는 유럽 및 기타지역 판매도 늘어날 수 있다도 내다봤다. 더불어 경기 회복단계를 겪게 될 미국 시장에서 중소형차에 강한 한국차가 상대적으로 중대형차 중심의 미국차에 비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기에 연간 수입 20만 달러 이하의 세금을 절감하고 60만 달러 이상 계층의 세금을 10% 인상하겠다는 누진세 강화정책도 중소형차 수요확대를 불러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오바마 정부가 FTA 재협상이나 슈퍼 301조와 같은 강도 높은 극단적인 보호무역주의를 선택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나친 보호무역은 세계경기 침체를 더욱 가속화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