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0일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에 대한 지방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지사와 정책협의회를 개최했지만, 시종 수도권-비수도권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며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 자리에서 김완구 충남도 지사 등 '비수도권' 시도지사들은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이 지방을 죽이고 수도권 과밀화를 촉진하는 비효율적 정책이라며 맹비난했다. 반면, 김문수 경기도 지사와 오세훈 서울시장 등 '수도권' 시도지사들은 수도권의 경쟁력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높여 해외로 빠져나가는 국내 기업들의 발길을 되돌려야 한다고 반박했다. 오세훈 시장은 "서울시의 라이벌은 지방 (시·도)가 아닌 동북아 등 다른 나라들"이라며 "현재 런던 파리 등 국제적인 도시들은 국가 성장률을 견인하는 반면, 서울은 경제 지체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지금과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경제를 살릴지 고민해야 한다"며 "최소한의 규제를 풀어서 국가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문수 지사는 "남북으로 분단된 작은 나라에서 또 다시 수도권과 지방으로 구분되는 것이 우려스럽다"며 "이럴 경우 중국 싱가포르와 같은 나라들과 경쟁할 수 없게 된다. 지금은 기업이 국가를 선택하는 시대로, 과연 기업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과 관련, "불합리한 수도권 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은 바람직한 조치"라며 "지방의 그린벨트 권역도 과감하게 해제하는 등 지방 지원도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김진선 강원도 지사는 "각 지역이 성장하고 그것이 모아져야 진정한 국가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며 "지금처럼 수도권과 지방간 자력의 차이가 큰 상황에서 규제를 완화하면 자력이 모두 수도권으로 몰려가고 동반발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지방은 지방대로 일자리를 만들고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완구 지사는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과 관련, "이러한 엄청난 대책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과연 (정부가) 시도지사들의 말에 귀를 기울였는지, 이번 정책으로 얻는 것과 잃는 것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은 했는지 묻고 싶다"며 "한나라당에서 (수도권과 지방간) 상생모델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빨리 만들어 이런 것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박희태 대표는 "경제회복과 중앙-지방의 공존·공영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며 "오늘 시·도지사 여러분들의 말씀을 잘 듣고 정부의 (지방)종합대책을 발표할 때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이명박 정부는 지난 정부가 추진한 '국토 균형발전'의 개념을 '국토 동반발전'으로 변경했다. 수도권은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방은 특성화 발전전략을 세우는 것이 옳다"며 "가감 없는 의견을 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당에서 박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와 각 정조위원장, 이한구 예결위원장, 정진섭 지방자치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정부측에서는 박재완 국정기획수석비서관,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한만희 국토해양부 국토정책국장, 임채민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배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