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협력업체 10곳 가운데 7곳이 적자상태이고 어음결제 등 자금수요가 몰려 있는 연말이 고비가 될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0일 중소기업중앙회 따르면 대기업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경영애로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협력업체 10곳 가운데 7곳이 적자상태에 놓여 있어 인력감축. 휴폐업 등을 고려하고 있다. 조사결과 응답 업체의 72.5%가 현재 경영상태가 '적자'이라고 답했고 11.1%만 '흑자'라고 응답했다. 적자운영 사유로(복수응답)는 대기업 납품물량 감소(56.1%), 납품단가 인하(51.5%), 불합리한 원가 산정(28.8%), 금융비용 과다(2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자상태 지속때 대처계획으로 인력감축(51.5%)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품질.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25.8%), 휴폐업 고려(22.7%) 등의 순으로 응답됐다. 이같은 대처계획은 협력업체가 자구책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기보다 인력구조조정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돼 실업자 양산 등이 우려되고 있다. 향후 경영전망에 대한 질문에 '현재와 같이 어려울 것이다(58.4%)', '현재보다 더 어려울 것이다(25.9%)', '현재보다 나아질 것이다(15.7%)'로 응답해 전체 84.3%가 현재 어려운 경영상태가 향후에도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자금사정은 상반기에 비해 '심각하다(34.5%)', '어느 정도 심각하다(57.8%)'로 응답해 전체 92.3%에 해당하는 협력업체의 자금사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업체가 발행하는 중소기업간 어음결제기간은 '길어졌다(49.4%)', '동일하다(50.6%)'로 조사돼 1차 협력업체의 자금악화가 2.3차 협력업체의 자금악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자금수요가 몰려 있는 연말에 연쇄도산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중소기업 금융지원책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어 금융당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독이 요구되고 있다고 한 관계자는 지적했다. 협력업체 적자경영 요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납품 원가 산정때 단가산정 임율 인상. 납품단가 원부자재비 비율 인하. 원자재인상분 반영비율 인상 등이 필요하다는 중소업체들의 입장이다. 광주전남본부 관계자는 "대기업은 매년 흑자를 내 연말 성과급까지 주고 있는 반면 협력업체는 채산성 악화로 적자에 허덕이고 인력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다"며 "상생협력. 동반성장이 공허한 구호에 그치지 않도록 고통분담 차원에서 납품단가의 적정이윤 보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