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013년까지 전국의 435만 가구에 추가로 도시가스를 공급키로 확정했다. 이는 정부가 지방 중소 시군으로 도시가스공급의 확대하겠다는 것으로 당초 계획 보다 3년이 빠른 것이다. 지식경제부는 13일 이같이 방침을 정하고 최종적인 공급대상 지역과 공급시기를 용역 및 지방자치단체 의견을 종합해 제9차 천연가스 장기수급계획으로 연내에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애초 8차 수급계획을 통해 2016년 이후까지 주배관 및 공급설비공사를 거쳐 30여개 시.군에 추가로 공급하려던 계획을 3년 이상 앞당긴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가스 공급에서 소외됐던 경북 북부, 강원 등에서도 2013년이면 도시가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현재 64%(1200만 가구)인 도시가스 보급률은 2013년 78%(1635만 가구)로 높아지고 배관망도 2721km에서 3784km로 늘어나게 된다. 지경부 관계자는 추가공급 대상지역에 대해 "8차 수급계획에 포함된 지역이 포함되고 추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8차 계획에는 가평, 속초, 강릉, 태안, 태백, 횡성, 동해, 삼척, 옥천, 영동, 부여, 문경, 상주, 안동, 울진, 남원, 제주, 영광 등 30여 곳이 들어 있다. 지경부는 이를 위해 내년도 수정예산안에 도시가스 보급 확대예산을 추가로 편성하는 등 관련 예산을 올해 250억원에서 1700억원으로 크게 늘려 가스공사의 주배관망 건설공사 보조에 500억원, 도시가스 공급배관 융자사업에 700억원을 각각 지원키로 했다 또 저소득층 2만여가구에 대해 200만원 안팎의 시설설치비를 무이자로 융자해 주기 위해 500억원의 예산을 풀 예정이다. 가스공사는 주배관망 건설을 초기에 착공하기 위해 내년에 7천억원을 투자하는 것을 포함해 향후 5년간 1조4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지경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도시가스 공급에서 소외돼 상대적으로 비싼 연료를 사용해왔던 취약계층의 생활비 절감과 산업체 경쟁력 향상, 지역간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사용하는 연료(LPG, 등유 등)에 대해서도 별도 보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