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의 대중교통수단이 버스와 승용차에서 도시철도로 대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도시철도는 대용량을 수송하고 정확한 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녹색도시 건설에도 크게 이바지 한다.
경산시의 도시철도망 계획을 보면 우선 대구도시철도1호선 하양연장사업이 '08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지난 11월7일 기획재정부에서 최종 선정되어 내년 4월까지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며 조사결과 경제성이 있다고 검증이 되면 사업시행이 확정돼 기본계획 등 각종 인 허가와 보상 등을 거쳐 2014년부터는 공사를 착공해 2018년 완공 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 2007년 6월 착공한 대구도시철도 2호선 경산연장사업도 현재 공정 20%로 당초 2012년말 완공예정을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1년 앞당겨 2011년 완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또한 대구시에서 2009년 상반기 착공예정인 대구도시철도3호선과 관련하여 종점인 범물동에서 대구 시지지구와 월드컵 경기장, 경산시 중산지구, 옥산1지구, 옥곡지구, 백천지구, 사동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이 완료된 밀집 주거지역의 대구, 경산 주민들로부터 도시철도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고 교통수요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어 3호선 경산연장도 검토,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1호선과 2호선을 연결하는 경산 순환선(영남대~하양)은 진량읍과 대구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 경산1,2산업단지, 앞으로 조성계획중인 경산 3,4,5산업단지를 비롯, 노선주변 대규모 개발사업이 본격화 될 경우 교통수요도 충분 할 것으로 보이며 순환선이 연결되어야 1,2,3호선의 이용율 상승효과가 기대 되므로 추진을 적극 검토중이다.
이와 더불어 기존 경부선 철도를 이용한 대구권 광역화에 따른 지역주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구권광역철도(경산시 포함)도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기본조사를 시행중에 있다.
1호선 하양연장과 2호선 경산연장, 3호선 경산연장, 1,2호선 연결 순환선, 대구권 광역철도가 계획처럼 추진이 되면 교통문화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경산시는 전국에서 가장 편리하고 친환경 교통도시로 탈바꿈되어 세계적인 학원도시와 기업하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역동적 경산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전경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