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김장철이 되면 '김장증후군'과 '주부습진'이 골치거리로 등장한다.
한 피부과에 따르면 주부습진은 자극성 접촉 피부염의 일종으로 김장을 할 때는 반듯이 면장갑을 낀 후 고무장갑을 덧 끼어야 안전하다고 밝혔다.
특히 고무장갑의 안쪽과 면장갑은 항상 마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 손에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면장갑을 끼기전에 베이비파우더를 뿌리는 것도 좋으며, 면장갑은 약간 헐렁한 것이 좋다.
피부에 밀착되는 반지도 빼고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 니켈이나 도금으로 된 급속 식기나 칼 등도 주부습진을 일으킬 수 있다.
김장 후에는 미지근한 물에 저 자극 비누로 깨끗하게 씻고 충분히 헹군 다음 핸드크림이나 바세린을 발라 준다.
건조함이 심할 때는 보습제를 바른 뒤 비닐 랩으로 1시간 정도 손을 감싸 놓으면 보습효과가 더 뛰어나다.
손에 고추가루가 묻어 맵고 화끈 거린다면 응급처치법으로 차가운 우유에 손을 담그면 매운기가 금새 가신다. 이는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 우유의 단백질에 의해 분리돼 씻겨 내려가기 때문이다.
만약 손이 가렵거나 물집이 생기는 등 이상 증상이 보일 경우에는 피부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받아 바르거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금새 증상이 호전된다.
한 피부과 관계자는 "김장을 하고 나면 주부들의 손에 습진이 생기기 쉽다"며 "손 피부는 얇고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면장갑을 낀다음 고무장갑을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