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김경엽 중·저준위 방사선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 유치로 정부로부터 받은 특별지원금 3,000억원의 사용을 기증사실화한 경주시가 그 사용처를 놓고 시민공청회를 여는 등 의견수렴에 적극나서고 있다. 시가 공청회를 통해 제시한 방안은 크게 3가지다. 지역의 대규모 현안사업에 투자하는 일부사용 방안, 현안사업과 양성자가속기 사업에 전액 투입 하는 방안, 장기적인 재정확충을 위해 전액 기금으로 관리하는 방안 등 이다. 이 가운데 경주시는 강변로개설, 국도4호선 우회도로 확·포장, 흥무로 개설, 문무로 위험구간 구조개선 등 7개 현안사업에 1,000억원 가량을 투자하는 일부 사용방안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듯하다. 공청회를 지켜본 시민들의 반응은 제 각각 이다. 물가가 더 올라 공사비가 늘어나기 전에 도로공사를 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공사하는데만 돈을 다 쓰면 어떻게 하느냐는 주장 등 다양한 반응들이 나왔다. 결정을 하고 집행을 해야 할 경주시가 이 시점에서 다시 숙고하고 고민해야 할 일이 있다. 과연 시가 생각하는 현안사업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되짚어 보는 일이다. 경주시민이면 누구나 문화재 발굴에 대한 심각성과 불편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으로 안다. 주택을 짓거나 대규모 공장을 신축할 때는 물론이고 기존 건물을 증축하려 해도 지하층이 있다면 문화재 조사와 발굴은 기본이다. 최근 경주출신의 유명 영화감독이 구 시청자리에 100억원 이상을 투자해 현대식 영화관을 지으려다 문화재 발굴문제에 발목이 잡혀 주춤하고 있다. 또 직원 수가 80여명에 달하는 노동부산하 고용안정센터가 경주에 문을 열기위해 건물을 구입후 증축을 계획했다가 문화재 발굴신청에서 조사까지 아무리 빨라도 1년 이상 걸린다는 얘기를 듣고 포기 했다. 문화재 조사 및 발굴이 투자자들의 내 쫒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화재 발굴과 조사 문제가 경주의 시급한 현안으로 거론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3,000억원 중 300-500억원 정도 떼어내 문화재 발굴기금을 조성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조성 된 기금으로 주택이나 상업시설, 공장 등으로 개발가능 한 지역에 대해 우선 기금으로 조사 발굴하고 그 비용을 나중에 사업시행자에게 땅값과는 별도로 받으면 될 일이다. 투자했다가 문화재 발굴 문제로 쪽박을 차야하는 모험을 투자자는 안해도 되는 만큼 안심하고 투자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고용 또한 늘어 날것이며 인구 또한 늘어 날 것이다. 대학의 관련학과 학생들의 취업문 역시 넓어질 것이다. 도로를 새로 뚫고 넓히는 일도 중요 하지만 문화재 발굴 이라는 경주만의 특수한 여건을 타개해 나가는데 사용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로 생각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