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계의 전망은 밝고 이에 따른 시장규모도 7조억원을 훨씬 웃돌 전망이다. 이에 반해 국내 환경산업분야는 기업규모의 영세성과 환경관련 핵심기술의 낙후, 환경설비투자의 저조등으로 외국 환경관련업계에 비해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실제로 한국산업은행이 최근에 내놓은 '국내외 환경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체중 환경설비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0.81%인 6백31개사, 생산액은 0.29%, 총수출액은 0.10%인 2억3천만달러에 불과했다. 또한 세계 50대 환경기업에 국내 업체는 하나도 들지 못하는 실정이다.
국내 환경기술 역시 대기 수질분야는 선진국의 70%수준이며, CFC대체는 45%, 폐기물 소각, CO2제거기술력은 25%정도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현황으로 볼 때 수입개방의 조류에 힘입어 외국의 유수한 환경관련 제품들이 물밀 듯 밀려올 때 국내 환경관련업계는 속수무책일 것이다. 이제 정부는 환경관련업계에 대한 각종지원책을 강구해야 하며 업게는 기술투자에 보다 과감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신경제 장기구상에 보면 환경산업의 육성과 환경기술의 개발촉진을 위해 2천년까지 단기정책과제를 설정, 환경산업시장의 기반확충, 공공환경투자 및 환경기초시설 운영에 민간자본 적극유치, 정부의 총 과학기술투자비의 3% 정도지원, 종합 환경연구단지 조성, 세제 금융지원의 강화, 산, 학, 연 협동 연구과정 확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한 환경산업체 해외진출 지원등 적극성이 엿보이고 있어 다소 희망적이기는 하다.
문제는 환경관련업계의 저조한 기술력과 정부의 복잡한 지원책 때문에 기업들의 이용률이 낮아 정부의 지원제도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접이다. 기업의 환경투자시 어려움은 자금, 기술력 부족, 정부로부터의 인, 허가 취득의 어려움 순으로 조사됐다.
공고재적 성격을 띠고 있는 환경산업계에 대해서 기업의 환경분야 투자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
또한 정부는 금융, 세제, 기술지원제도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절차를 간소화해 기업의 이용률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업 역시 부가가치가 높은 외국산 환경제품의 수입에만 눈독들이지 말고 신기술, 신제품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하여 무한한 세계환경시장에서 선두 주자가 되길 바란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환경기술이 중국에 환경오염방지시설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약 1백12조원 가량 될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환경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환경부가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 우리정부는 환경기술개발과 연구에 집중 투자하여 외국에 지출되고 있는 환경기술에 관한 무역 적자를 메우고 환경기술 수출 국가로 우뚝 서야 할 것이다. 미래사회는 무엇보다도 환경이 중시되고 이에 발맞추어 환경산업도 급성장 할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