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직장인들은 약 44세 정도면 현재 다니고 있는 일터에서 물러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에 따르면 리서치 전문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20~50대 직장인 1,075명을 대상으로 ‘현 직장에서의 예상정년’에 대해 조사한 결과, 평균 43.9세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에 조사한 예상 정년 48.4세 보다 무려 4.5세 줄어든 결과다.
특히 젊은 연령일수록 작년과 비교해 예상정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0대는 전년도 동일 조사 결과 40.5세에서 올해 36.0세로 4.5세가 줄어, 40세가 되기도 전에 현 직장을 그만둘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어 30대와 40대는 각각 43.9 및 53.2세로 작년에 비해 1.6세, 0.9세 단축됐다. 50대 이상은 58.9세로 0.4세 정도 차이를 보였다.
이들은 또 대부분 1번 이상의 이직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생활에서 이직과 전직을 몇 번 할 것으로 예상하는지 물은 결과 1번(33.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2번(27.0%), 3번(24.3%)이 뒤를 이었으며 4번(6.8%), 6번 이상(4.7%), 5번(3.9%) 순이었다.
예상 정년과 마찬가지로 연령대별로 이직과 전직횟수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20대는 2~3번 정도 이직 및 전직을 생각하고 있다는 답이 가장 많은 반면, 30대부터 50대 이상까지는 1번이라고 답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응답자의 절반 정도(42.2%)는 정년 이후를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연금 등 노후대비 저축 등 재테크'(42.1%), '제2의 직업(직종) 준비'(36.3%), '동종업계 이직을 위한 전문성 확보'(19.8%) 등이 있었다.
이광석 인크루트 대표는 “경기침체 등 고용에 대한 불안감으로 예상정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그 이후에 대한 준비 역시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