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사용액 증가율이 4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꾸준히 감소하던 연체율이 상승 반등한 것으로 나타나 카드업계는 물론 개인신용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카드 연체율 상승 반등은 지난 2003년 카드사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5일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현대·롯데·비씨 등 5개 전업카드사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3.43%로 지난해 9월말에 비해 0.15%포인트 상승했다.
2003년말 카드사태 당시 28.3%까지 치솟았던 전업사 연체율은 부실채권을 매각하고 위험관리를 강화하면서 꾸준히 하락세를 보여 2006년 5.53%, 2007년 말 3.79%로 떨어졌다.
지난해에도 3월말 3.52%, 6월말 3.43%, 9월말 3.28%로 분기 기준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경기침체가 본격화된 지난해 4분기에 들어 연체율은 상승 반전했다.
은행계 카드사의 연체율은 지난해 상반기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2007년말 1.39%에서 지난해말 1.88%로 0.49%나 뛰어 올랐다.
이같은 카드업계의 연체율 상승세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커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연체율은 연체금액을 자산금액으로 나눠 계산하는데 카드사용액 증가율이 감소하면서 카드사들의 자산금액도 함께 줄어 연체율 상승세를 더욱 부채질 하고 있다”며 “카드사들의 자산규모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당분간 카드사들의 연체율 상승세는 지속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올해 1월 신용판매승인실적(체크ㆍ선불카드 포함)은 27조1,52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9% 증가에 그쳤다.
금융위기가 본격화 됐던 지난해 10~12월 판매승인실적 증가율은 각각 15.23%, 9.80%, 9.09%로 매월 줄어들었지만 3%대까지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1~9월 전년 동기 대비 판매승인실적 평균증가율이 20.08%였던 것을 감안하면 3%대 증가율은 경기침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가늠할 수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