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채용을 진행하는 중견·중소기업의 기업당 평균 채용인원은 6.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대비 0.5명 감소한 수치다. 9일 취업포털 커리어에 따르면 최근 종업원수 1,000명 미만 중견·중소기업 747개 사를 대상으로 ‘2009년 신규직원 채용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62.2%(465개 사)가 ‘채용계획 있다’고 답했다. 아직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거나 아예 계획 없는 기업은 각각 18.9%로 조사됐다. '채용계획 있다'는 비율은 전년 동일 조사 결과(83.9%) 대비 21.7%포인트나 감소했으며 그나마 규모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채용규모에 대해서는 41.1%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지만 ‘감소할 것’이라는 기업은 37.6%로 ‘증가할 것’(19.6%)이란 응답보다 두 배 정도 많았다. 나머지 1.7%는 ‘규모는 미정’이라고 답했다. 올해 채용계획 및 규모를 확정 지은 432개 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대비 채용인원을 조사한 결과, 올해 기업당 평균 채용예상 인원은 작년(7.2명)보다 0.5명 감소한 6.7명으로 집계됐다. 기업규모 별 채용 인원을 살펴보면 종업원수 1,000명 미만 중견기업은 20.7명, 종업원수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평균 4.4명을 계획하고 있었다. 업종별로는 '식음료'가 15.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제조 및 기타'(7.7명), '자동차·운송'(6.5명), 금융(6.3명), '유통·무역'(5.4명), '기계·철강'(4.5명), '건설'(2.8명), '전기전자·정보통신'(1.9명) 순이었다. 주요 채용분야(복수응답)는 46.5%가 ‘영업·판매직’을 꼽았으며, ‘생산·기술직’도 30.3%나 됐다. 다음으로 '경영·일반사무·회계'(19.6%), '전문직·특수직·교육'(17.8%), '기획·마케팅·홍보'(16.1%) 등이 뒤를 이었다. 분야별 공채를 실시하겠다는 기업은 1.7%였다. 올해 특별히 채용을 늘리려고 계획한 직종(복수응답)은 ‘영업·판매직’(37.4%)과 ‘생산·기술직’(26.9%) 등 매출과 직결되는 분야였으며, 반면 채용을 줄이려는 직종(복수응답)은 ‘단순노무직’(18.5%)과 ‘경영·일반사무·회계’(13.8%)가 많았다. 또 주로 채용할 신규인력 비율은 ‘정규직’(73.1%)이 ‘비정규직’(26.9%)보다 3배 가량 높았고, ‘신입’(19.6%)보다는 ‘경력직’(39.4%)을 뽑겠다는 기업이 많았다. 채용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항목(복수응답)도 ‘해당분야 경력자’가 51.8%로 1위를 차지해 채용시장에서 실무능력 및 업무경험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관련 자격증 소지자’(35.7%), ‘관련 전공자’(28.6%), ‘영어 능통자’(21.5%), ‘지역 연고자’(10.8%)가 있었으며, ‘제2외국어 가능자’(5.4%)나 ‘석박사 출신’(5.4%), ‘해외근무 경험자’(3.7%), ‘인턴십 경험자’(3.7%) 등이 있었다. ‘가산점을 주는 항목이 없다’는 응답은 14.2%였다. 한편 인사담당자들은 올해 채용시장에 대해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채용규모가 축소될 것’(49.2%)이라고 전망했으며, ‘업종별 양극화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21.5%나 됐다. ‘채용 자체를 못하는 기업이 속출할 것’은 16.1%,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질 것’은 9.0%, ‘예년과 비슷할 것’이란 의견은 3.7%를 각각 보였다. 김기태 커리어 대표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대기업은 물론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들이 채용규모를 축소하거나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현상은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