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로 위기에 빠진 자동차 산업을 구하기 위해 세계 각국 정부가 지원책을 쏟아 내고 있다. 코트라(KOTRA)는 11일 '2009년 세계 자동차시장 미리보기' 보고서에서 각국 정부가 ▲자금지원 ▲소비 진작책 ▲보호주의 장벽 등의 자동차 산업 지원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너럴 모터스(GM)에 94억 달러, 크라이슬러에 40억 달러 등 총 174억 달러의 단기 긴급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캐나다 역시 GM과 크라이슬러 캐나다 공장에 각각 30억 캐나다달러와 10억 캐나다달러를 지원키로 했으며 독일, 프랑스와 영국 정부도 이 같은 자금지원을 논의 중이다. 세제인하 등을 통한 소비진작책의 경우 일본, 중국, 브라질, 인도 정부가 자동차 소비세를 인하해 차량 구매를 촉진하는 방안을 시행 중이다. 특히 독일 정부는 노후차량을 새 차량으로 교체하면 최대 2,500 유로(약 440만원)를 지원하는 등 총 15억 유로(약 2조6,820억원) 규모의 대대적 소비진작책을 마련했다. 이 밖에 브라질은 자동차할부 금융사에 자금을 지원키로 했으며 중국과 인도는 각각 유류세와 휘발유 가격인하 등을 통해 소비를 끌어올리고 있다. 보호주의 장벽을 강화해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도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러시아가 지난 달 자동차 수입 관세율을 인상한데 이어, 말레이시아는 자동차 부품의 국산화율 규제를 강화해 수입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과 비협정국간의 관세율 격차를 최대 50%까지 확대, FTA 체결국인 일본과 미국, 유럽연합(EU)에만 관세감축 혜택을 줬다. 한편, 코트라는 각국 정부의 자동차 산업 지원정책이 시장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우리의 자동차 수출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조병휘 코트라 통상조사처장은 "올해 세계 자동차시장은 6% 가량 판매가 줄어들 것"이라며 "그러나 미국과 EU 자동차 기업들이 위축돼 있는 지금이 우리 자동차 업계에는 세계시장 점유율을 넓혀갈 기회"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근 한국산 자동차가 북미 시장에서 판매호조를 보이는 것도 위기를 기회로 활용한 사례"라며 "다만 각국 정부의 자동차 산업 지원책이 보호주의로 변질돼 수출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