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대다수가 올 한해 중국내 사업규모를 줄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국내 제조·유통기업 1,100여개사를 대상으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 기업의 경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진출기업의 60.4%는 중국 사업규모를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응답 기업의 12.6%는 '확장하겠다'고 답했으며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27%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중국시장은 여전히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이 중국 내 사업규모를 줄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한편 올해 중국시장 사업환경에 대해 응답기업의 49.6%는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고, 37.0%는 지난해와 '비슷하다', 13.4%는 '호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5년간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 판매전망에 대해 점차 '축소될 것'(42.7%) 또는 당분간 '증가하다 축소될 것'(20.3%)이라는 부정적 견해가 63.0%에 달했고, '계속 증가할 것'(31.6%) 또는 '유지될 것'(5.4%)이라는 응답은 37.0%에 그쳤다.
이는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기업들의 불안감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기업들이 현지에서 겪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 인력관리(18.9%) ▲ 유통,물류 네트워크 구축(17.6%) ▲ 마케팅 지원(16.8%) ▲ 세금관련(12.8%) ▲ 언어와 문화 차이(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대한상의는 "중국 내수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주요 거점에 대한 유통, 물류망 구축과 인력관리, 마케팅, 세금관련 문제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이 매우 시급한 해결과제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물류인프라 중 취약한 분야로는 27.1%가 수배송 시스템을 꼽았고 이어 ▲정보시스템(26.2%) ▲원재료 조달(25.3%) ▲창고 및 보관(10.7%) ▲반품 및 폐기품 회수(6.0%) ▲포장(1.6%) 등이 지목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들이 글로벌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중국은 중요한 시장이며 여전히 커다란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물류공동화 사업, 마케팅 정보제공, 현지 전문가 육성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