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단지 내 대형판매시설 허가문제를 놓고 경주 중심상가 상인들과 경주시, 경북관광개발공사의 팽팽한 신경전이 외관상 23일 결론이 났다. 경주시건축위원회의 건축심의 결과 허가 쪽으로 가닥을 잡아 의결했기 때문이다. 몇 차례 심의를 보류하며 상인들의 눈치를 보던 경주시가‘ 더 이상 심의를 미룰 수 없다’는 현실론을 내세우며 상가단체 대표단들을 따돌리고 자리를 옮겨 처리한 것이다. 이로서 경주시는 허가를 위한 요식절차는 모두 밞은 셈이다. 경주시로서는 홀 가분 할 것이다. 하지만 또 다른 한편 에서는 경주시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상가 대표들은 24일 긴급모임을 갖고 경주시의 몰인정한 처사를 강력 규탄하기로 한 것이다. 도심상가 상인들은 생존권을 앗아갔다며 상가마다 조기를 내걸고 경주시장에 대한 주민소환을 위한 운동에 본격 나설 태세다.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위해 포스터를 제작 부착하기로 하는가 하면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는 등 반발의 강도를 높여가기로 했다. 경주시와 중심상가 상인들의 격한 마찰이 불을 보듯 훤해졌다. 일련의 심의 허가 과정을 지켜본 입장에서 안타깝기 짝이 없다. 얼마든지 대화로 풀어 갈 수 있는 사안을 아직도 밀어붙이기씩 행정으로 분열의 조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중심상가 상인들은 최근 몇 년간 시가지 고분군정비 사업으로 철거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 이런 때 보문단지 내 대형유통매장 추진소식은 위기감과 함께 절망감을 주기에 충분하다. 시내 중심상가를 살릴 수 있는 방안 즉 행정타운 조성이나 기 수립한 중심상가·재래시장 살리기 등 경주시가 하고 있는 노력을 먼저 상인들에게 소상히 설명하고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것이 순서였다. 또 땅을 팔려는 개발공사나 판매시설을 추진하는 업체 모두 진지한 자세로 상인들과 대화 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한수원 본사 위치문제, 시립화장장문제, 송전탑문제, 어느 하나 속 시원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일이 또 다른 지역 분열의 불씨가 되지 않을 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에 쫓기 듯 서둘러 심의 의결한 이유가 궁금 해진다. 이 와중에 재빨리 추진업자에게 공사를 청탁하고 자재납품과 인사청탁을 한 지역 인사들의 면면도 궁금해 진다. 중앙정치 던 지방정치 던 정치의 최대 덕목이 타협과 대화임을 간과 한 이번 사태가 가뜩이나 찢어진 지역민심을 더 분열시키는 불씨가 되지 않기를 기원해 본다. 김경엽 편집국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