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위기로 인해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2명이 소득 및 자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정보미디어기업 닐슨컴퍼니는 지난달 서울 및 대전과 대구, 광주, 부산 등 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3.3%가 현재의 경제위기로 인해 ‘소득이나 자산이 이전보다 줄었다’고 응답했다고 9일 밝혔다.
전체 응답자 중 33.4%는 ‘소득·자산에 변화가 없다’고 대답했고, ‘늘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3%에 불과했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의 82.4%가 ‘소득·자산이 줄었다’고 응답한 반면, 변호사와 의사, 교수, 예술가 등 전문직과 자유직 종사자는 소득 수준에 변화가 없거나(44.4%) 소득·자산이 늘었다(9.6%)는 응답이 다른 직군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득 수준별로는 소득이 낮을수록 ‘현재의 경제위기로 인해 소득·자산이 줄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득·자산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사람 중 31.0%가 ‘5~10% 감소했다’고 답했고, 28.5%는 ‘10~20% 감소했다’고 응답해 약 60% 가량이 5~20%의 소득·자산 감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의 23.8%가 ‘소득·자산이 20~30%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한편 경제위기에 따른 소득·자산의 감소는 주로 근로소득의 감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자산이 감소했다’는 응답자에게 ‘어느 항목의 소득이 가장 크게 줄었나’라고 물은 결과, 59.2%가 ‘근로소득’이라고 답했으며, 금융소득(28.7%)과 부동산소득(6.6%)이 뒤를 이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20대(65.9%)이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고 답했으며, 금융소득은 30대(35.1%), 부동산소득은 50대(13.8%)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고 대답했다.
최원석 닐슨컴퍼니 코리아 사회공공조사본부 국장은 “금융위기로 인한 소득이나 자산의 감소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직업 안정성이 높은 전문·자유직보다는 자영업자의 소득 감소폭이 훨씬 크고, 월 소득 15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최 국장은 “근로소득의 감소가 20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취업난과 더불어 신입사원의 연봉을 감축하고 있는 현상이 반영된 결과"라며 "중장년층에서 나타난 금융소득과 부동산 소득의 감소는 각종 투자 및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은 현재의 경제상황이 개인의 소득·자산 감소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