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기업의 경영사정이 악화되면서 임금체불이 장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2월 말까지 임금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는 4만2,166명으로 지난 해 같은 기간 2만4,889명보다 69.4%나 늘었다.
임금 체불액은 1715억원으로 전년대비(1,002억원) 71.2%가 증가했다. 이는 지난 해 지급되지 못한 임금 445억원까지 포함하면 2월 현재 체불된 임금은 2,160억원에 달한다.
특히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난 해 9월부터 임금 체불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 10월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는 1만9,000명(714억원)에서 11월 2만2,000명(836억원)으로 늘었고, 12월에는 1만6,600명(1,075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노동부는 전체 체불임금 2,160억원 가운데 44.5%인 961억원(2만7,000명)을 지방관서에서 지도해결했다. 31.8%인 686억원(1만4,000명)에 대해서는 사법처리 조치를 취했다.
노동부는 또 도산한 기업의 근로자들을 위해 1만468명에게 471억원의 체당금을 지급했다. 이는 지난 해 같은 기간 227억원보다 107%가 증가한 수치다.
이 밖에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들을 위해 지난 해(22억원)보다 732% 많은 183억원(3,631명)의 생계비를 대부해줬다.
한편 노동부는 기업의 복리후생비용 부담을 줄이고, 근로자들의 복리 수준이 축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내근로복지기금 누적원금의 지출을 25% 이내에서 허용키로 했다. 또 신규출연금의 지출한도를 50%에서 80%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임금체불 증가추세가 당분간 지속되면서 영세사업장 근로자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추가경정예산 등을 통한 재원을 추가로 늘리는 등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