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융위기로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세계 자동차산업이 내년부터는 점차 회복될 것이며, 향후 시장재편과정에서 한국 자동차업계가 시장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10일 코트라와 세계적 자동차 시장 예측 전문기관인 'CSM 월드와이드'가 공동으로 개최한 '2009 세계 자동차시장 대전망' 설명회에서 마이클 로비넷 (Michael Robinet) CSM 부사장은 "현재 미국 자동차시장은 판매부진과 재고조정으로 크게 위축돼 있지만, 매년 150만의 신규 가구가 생기고 있고 매년 110만대가 폐차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신차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경기호전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초부터는 자동차시장도 회복될 것"이라며 "세계 자동차 생산량이 올해의 5,500만대를 저점으로 내년부터 회복돼 2015년에는 8,000만대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대해 김태호 코트라 부품소재산업팀장은 "CSM이 제시하는 향후 자동차시장의 키워드는 중소형차, 신흥시장 주도 성장, 친환경 및 연비개선, 저비용 기술, 업계간 통폐합 등으로 요약된다"고 분석했다. 김 팀장은 "한국은 중소형차 중심의 개발능력과 노하우를 갖추고 있고, 상대적으로 미국시장보다 브릭스(BRICs) 등 신흥시장 위주의 글로벌전략을 구사한데다, 최근의 환율상승으로 인한 가격경쟁력까지 보유하고 있다"며 "향후 시장 재편 과정에서 한국 자동차 및 부품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한국 부품의 품질력에 가격경쟁력까지 더해지면서 해외 완성차 및 부품업체들의 구매 문의가 부쩍 늘고 있는 상황이다. 코트라는 이런 분위기를 수출로 연결시키기 위해 오는 6월 해외 완성차 및 글로벌 바이어 300여명을 초청해 국제수송기계부품전을 열 계획이다. 한편 북미 빅3의 파산위기와 유력 완성차들의 잇따른 감산이 주요 자동차시장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준비된 이날 설명회에는 국내 자동차업계 관계자 300명이 참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