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칼럼 온실가스 감축 할때 기후협약에 관한 교토의정서 체결 뒤 선진국들은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진국들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구조를 저탄소 위주로 재편함으로써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줄어든 나라들에서는 배출권을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탄소시장의 성장도 눈부시다. 세계은행이 예측한 바, 탄소시장의 거래 규모는 2007년 630억달러에서 2012년 1500억달러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산화탄소 배출권이 화폐처럼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재화로 통용할 날도 멀지 않아 보인다. 지금까지 이산화탄소 감축을 통한 저탄소 사회 실현이 환경과 교통 등과 관련한 논의가 대부분이었던 것에 반해 일본은 정보통신 산업을 이용한 저탄소 사회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본이 추진하는 정보통신 산업의 저탄소 사회 실현은 단순히 기술개발을 통한 정보통신 산업 자체의 탄소배출 억제와 정보통신 기기의 에너지 효율화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정보통신 분야의 이산화탄소 감축은 ‘무선 주파수 인식기술’(RFID)을 활용한 상품 생산을 효율화하거나 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위치정보로 유통을 합리화하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사회 전체의 생산·소비·업무 활동의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재택근무가 널리 퍼지는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함으로써 교통정체를 해소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사회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그 실현 방안으로 다양한 정보통신 기기를 보급했다. 2012년 730억㎾h의 전력소비로 약 300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는 6800만톤이다. 배출량보다 감축량이 월등히 많다. 환경규제를 강화하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앞으로 저탄소 사회를 실현하는 기술은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한국은 정보통신 산업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과 경쟁력을 자랑한다. 이러한 기술력과 경쟁력이 저탄소 사회 구현이 가능한 다양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로 이어진다면 신규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경제성장의 동력을 자리매김할 수 있다. 미래는 정보가 경제의 기본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처럼 탄소배출과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비례하진 않을 것이다. 21세기는 정보통신을 활용한 저탄소 사회의 실현만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한다. 경제위기를 기회로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을 착착 진행시키고 있는 일본을 참고할 만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