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전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울릉도 서북쪽 167㎞ 해상에 탄착돼 울릉군 최초로 공습경보가 발령됐으나 정작 지자체인 울릉군과 소방서, 울릉군 소재 군부대는 이 같은 구체적인 정황을 늦게 간파해 군민들이 혼란과 공포를 겪었다.함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2일 오전 8시 51분께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3발을 발사했다. 이 중 1발은 NLL 이남 26㎞ 지점 공해상에 탄착됐다. 강원도 속초 동쪽 57㎞, 울릉도 서북쪽 167㎞ 거리 해상이다.   영해(기준선에서 12해리·약 22㎞) 밖이긴 했지만 속초 앞바다 쪽으로 탄도미사일을 쏜 것으로, 북한이 NLL 이남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분단 이후 처음이다. 또 공습경보가 발령된 것은 백령·대청도 발령 이후 6년 9개월만이며 릉도는 처음이다.이에 따라 정부는 울릉도 지역 일대에 주민 보호를 위한 비상 대응 체계를 즉시 가동했고 행정안전부는 미사일이 탄착된 4분 후인 오전 8시 55분께 울릉지역 일대에 공습경보를 발령했다.하지만 사이렌으로 알린 공습경보로 울릉군민은 이른 아침에 울린 경보에 놀라 공포에 휩싸였다. 울릉군에서는 최초로 울린 공습경보였기에 주민들은 대부분 허둥지둥했다. 공습경보 발령 이후 울릉군이나 군 당국에서 후속 대책 방송이나 문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이 발생한 데에는 행안부와 지자체간의 신속한 정보 전달이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울릉군 관계자는 "공습경보 발령 이후 한참 뒤에야 북한 미사일 탄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았다"며 "행안부에서 구체적인 전달이 있은 후 울릉군 알리미로 주민들에게 대피를 안내했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공습경보 사이렌을 의아하게 여겨 울릉소방서에 문의전화를 했으나 소방당국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공습경보 발령 12분이 지난 9시7분께 ‘북한 측에서 탄도미사일 발사로 인한 울릉도 전역 공습경보 발령’이라는 문자를 군민에게 발송했고 이보다 12분이 지나 울릉군 알리미는 ‘지하시설 등으로 대피하라’는 문자를 보냈다. 울릉군이 상황을 인식하기까지 24분이 흐른 셈이다.   주민들은 “행안부의 최초 공습경보 사이렌과 해당 지자체 관군에 대한 연락망에 공백이 있었던 것은 세계 최강의 초고속 LTE 강국이라는 대한민국에서 일어나서는 안 될 사고”라고 분개했다.군민들은 최초 사이렌으로 알린 공습경보와 문자만 보고 전쟁이 발발했다는 생각으로 허둥대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구체적인 설명 없이 공습경보가 발령됐다고만 했고 지하시설로 대피하라고 안내해 전쟁 상황이라고 밖에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주민들은 “이처럼 긴박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대비하는 매뉴얼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든다”며 “이번 상황으로 보아 최초 공습경보 사이렌과 구체적인 상황설명, 다음 행동에 대한 지침이 늦어져 주민들을 공포에 몰아넣었다”고 호소했다. 게다가 울릉군 알리미가 지하시설로 대피하라고 안내했지만 정작 울릉군에는 지하대피 시설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은 "울릉군에는 군청에만 지하대피 시설이 있기 때문에 공무원들은 대피할 수 있겠지만 주민들은 유사시 그대로 위험에 방치될 수밖에 없다"며 “지난달 4일 한미연합 지대지미사일 사격 중 발생한 현무-ⅡC ‘낙탄 사고’ 때 강릉시민이 겪었던 공포가 울릉도에서 재현됐다. 정부와 지자체가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마음가짐을 다시 한번 가다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