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화두는 단연 정치개혁인 소선거구제 개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중대선거구제를 거론한 데 이어 김진표 국회의장도 여야 정개특위 위원들과 만나 선거법 개정을 주문한 바 있다. 대통령과 국회의장의 의지가 확인되면서 선거법 개정 논의가 활발해졌다.  선거제도 개편은 매번 총선을 앞두고 거론됐지만 양당 정치의 독과점 기득권 구조를 극복하지 못하고 무산됐다. 21대 총선에서는 비례대표제를 손질한답시고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지만 결국 `위성 정당`만 만든 꼴이 됐다. 22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번에도 선거제도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 정개특위에는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한 10여 개의 법안이 계류 중이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과 원내 1당인 민주당의 기류도 나쁘지 않아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대선거구제는 내각제와 어울리는 측면이 있어 대통령제를 하는 나라에서는 소선거구제가 맞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국민들은 망국적 소선 구제는 과감하게 손질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회 정개특위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정치개혁 어젠다를 주제로 `대국민 여론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21대 총선 과정에서 준 연동형 비례제가 도입됐을 당시 논의가 정치권에만 머물고 국민에게로 확장되지 못했던 한계가 있었다. 여론조사는 이번 선거법 개편 과정에선 대국민 소통을 늘려 정치개혁 의제들을 공론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개특위에는 현행 소선거구제·준 연동형 비례제를 보완할 여야의 개정안이 10여 개 올라와 있는 상태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준 연동형 비례제를 폐지하고 비례제로 돌아가면서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는 안을 주장하는 반면 야당 의원들은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변경하는 안과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안, 석패율제를 도입하는 안 등 현행 선거제의 `사표` 문제를 해결하는 개선책을 제시했다. 1987년 대통령직선제 개헌의 산물인 국회의원 소선거구제는 1등 아니면 모두 낙선하는 승자독식 구조이다. 그러다 보니 선거 때마다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이 유권자 전체의 지지를 얻지 않았음에도 의석을 독점해 왔다.  19대부터 21대까지 국회의원 300석 중 거대 양당의 의석 비율은 각각 93%, 81.7%, 94.3%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현행 소선거구제는 거대 양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담당할 제3당, 제4당의 출현을 막아버렸다. 이런 폐해를 극복하려면 선거제도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더 늦기 전에 우리 정치를 퇴보하게 만든 소선거구제와 과감하게 결별을 선언해야 한다. 그 대안이 한 선거구에 2명 이상의 국회의원을 뽑는 중대선거구제이다. 물론 중대선거구가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보인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공감대가 다시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나마 다행이다. 역산하면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는 얘기다. 우물쭈물하다가 여야가 공멸할 수도 있다. 국회의원 개개인 모두 유불리 셈법이 있겠지만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는 선거제도가 무엇인지 숙고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