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2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린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취임 후 여섯 번째 정상회담을 가졌다. 핵심 주제는 북한의 무력 도발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문제였다. 이번 회담은 다자회의 중에 열린 것이어서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한미일 안보 증진 등 주요 현안과 본궤도에 오른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장 관심을 끈 오염수 문제에 대해서는 두 정상이 한일 양국 국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불안감을 충분히 잠재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적인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며 "방류의 전 과정이 이행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우리측과 공유하고, 방류에 대한 점검 과정에 우리 전문가도 참여토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방류를 즉각 중단하고 우리측에 이를 알려야 한다는 입장도 전달했다. 일본 외무성은 회담 후 보도자료에서 `해양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IAEA의 발표를 존중한다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으나 우리의 요구 사항은 소개하지 않았다고 한다. 일본 정부가 한국 내 여론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일본의 주권적 판단이라는 점, IAEA의 조사 결과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으나 여론의 향배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오염수 문제는 과학의 영역이지만 동시에 정치의 영역이다. 과학자가 아닌 정치인이 정치를 하는 이유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실을 토대로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비과학적인 주장으로 여론을 호도하려는 것도 그렇지만 엄연한 불안 심리를 무시한 채 수치와 데이터를 들이밀며 여론을 윽박지르는 것 또한 올바른 태도는 아니다. 무엇보다 오염수 방류에 대해 일본 내에서조차 여론이 갈리는 상황에서 이익은 전혀 없고, 크든 작든 피해 가능성만 있는 바로 옆 나라가 마냥 손뼉만 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무리이다. 이 문제로 한국 내 여론이 악화하면 어렵게 복원된 양국 관계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방류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을 좀 더 강하게 개진하고, 일본도 한국민의 불안을 덜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에 성의 있고, 적극적으로 호응하길 촉구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