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기업들은 경기불황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경기침체가 오래 끌면서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정부 여당이 뭇매를 맞고 있다. 살맛 나는 세상은 뭐니 뭐니 해도 건설경기가 살아나야 한다.   거기다 가계부채마저 위기다. 부동산 급락과 역전세난을 막아야 하는 필요성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정부의 가계부채 대처 전선이 느슨해졌던 것은 사실이다. 그 배경엔 뿌리 깊은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가 도사리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정권이 대출을 보다 쉽고 싸게 받게 해달라는 요구를 수용하고 부동산 규제를 대폭 푼 데는 정치적 계산이 작용한 측면도 있다. 위기 시엔 거시 경제의 건전성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하는 법이다. 고금리의 장기화가 기정사실로 굳어지고, 중동 전쟁으로 유가 급등이 불가피해졌다.  한국 경제가 살길은 포퓰리즘을 배척하고, 각 부문의 부채를 줄여가며 구조개혁에 매진하는 것밖에 없다. 대통령 비서실이 가계부채 위기가 발생하면 1997년 겪었던 외환위기의 몇십 배 위력이 될 것이라는 메시지는 단순히 경고로만 볼 수 없다. `과거 정부에서 유행한 영끌 대출이나 영끌 투자 이런 행태는 정말로 위험하다`는 경고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폭발 직전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08.1%로 스위스(130.6%)에 이어 세계 2위다.   절대 수준도 높지만, 증가 속도가 무섭다. IMF가 데이터를 집계하는 26개국 중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다. 젊은 층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한다)` 열기는 윤석열 정권에서도 식지 않고 있다. 2분기 30대 이하의 1인당 가계대출은 약 7900만 원으로 2019년 2분기보다 27% 늘었다. 고금리 아래 청년들의 비명도 높아지고 있다. 2030 취약차주(다중채무자·저신용·저소득 대출자)의 빚 연체율은 8.41%에 이른다. 그럼에도 정부와 한국은행은 상당한 엇박자를 내왔다.   경기회복을 위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때다. 사실 정부가 가계부채에 단호한 입장을 견지했던 지난해엔 가계대출이 7조8000억 원가량 감소하기도 했다. 물론 부동산 급락과 역전세난을 막아야 하는 고충보다 정치 부재가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선거 승리는 경제다. 건설경기가 회복되지 않고서는 선거에 승리를 기대할 수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