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문무대왕면 입천리 입천마을 경주시 동남동쪽 19㎞ 지점에서 30일 새벽 4시5분에 발생한 지진은 규모 4.0이다. 지진 발생 나흘째인 4일 현재 경주시민들은 평시와 다름없이 일상생활을 평온으로 되찾았다. 첫날에도 별다른 동요는 없었다. 경주지진을 두고 이런저런 말들이 있으나 한반도에 지진 안전지대는 없다. 천년 도읍지 경주에는 신라 시대에 한두 차례 규모를 알 수 없는 지진 발생이 있었을 정도로 비교적 안전지대다. 일본에 비하면 지진 청정지역이나 다름없다. 신라왕이 도읍지를 옮기지 않은 이유는 사상자를 낸 규모가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인지 모른다. 경주가 안전지대임을 당시 축조된 첨성대가 증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경주지진은 피해는 없었어도 주낙영 경주시장은 만일을 대비해 적극 대처에 나셨다. 소방, 경찰, 기상청, 문화재, 원전 등 관련 기관과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물론 직원 1/5 비상 근무, 재난 안전문자 시스템 재점검 등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비태세를 확립해 시민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경주시는 실제 발생한 규모 이상으로 공포감이 조성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종합상황실을 긴급 가동하고 비상 2단계를 발동하는 등 피해 상황 신속 파악 등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지진 발생 이후 종합상황실 등으로 99건의 문의가 있었지만, 피해 접수는 단 1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진은 총 6건이 발생했지만 모두 규모 0.8~1.5 사이여서 느낄 정도는 아니다.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시설인 월성 원전(10.1㎞)에서 지진 계측 값은 0.0421g으로 내진설계 기준치 값에 크게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접해 있는 방폐장 역시 안전했다. 일부 언론이 지진 소식을 신속히 전하면서 7년 전의 규모 5.8 지진 영상 방영으로 시민들이 오해가 있었다. 지진 발생을 두고 경주 지역 탈핵 단체에서는 성명서를 통해 `즉각 월성 원전 폐로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들 딘체는 활성단층이 월성 이전해 통과한 것으로 노후 원전 연장을 반대 했다. 지진은 선진국도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철저한 대비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밖에 없다. 원전 가동 30년이 흘렀지만 지진 피해는 들어보지 못했다. 부산이 2030 엑스포 유치에 실패했다. 모두가 똘똘 뭉쳐 2050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에 성원을 보내야 한다.100만 서명운동이 헛되지 않게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