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지방은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없다. 중소도시와 농어촌 마을은 빠른 속도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농촌 마을에는 아기 울음소리가 멈추었는지 오래다. 시골 마을 경로당에는 할머니들뿐이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가 심각함이 짐작이 간다.   특히 교육과 생활 인프라를 비롯한 정주 여건 악화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청년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중은 지방소멸의 원인이 된지 오래다. 지방소멸 위기가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지방균형발전을 외쳤지만 그대로다. 젊은 인구가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부동산값마저 수도권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비수도권은 아파트가 미분양 될 정도로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없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 지방의 특성 고려 없이 중앙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도 문제가 있어 보인다. 새 정부 들어서 과거 분절적으로 추진됐던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책을 통합해 분권형 균형발전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세웠다. 조속히 분권형 균형발전 추진을 통해 지방정부의 권한과 중앙정부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 이를 지방소멸의 위기 극복과 균형발전의 성공적 토대 구축으로 이어지려면 정부의 의지에 달렸다.   지역의 문제가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도출해야 한다. 감내할 수 없는 권한과 단기적 지원은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분권 및 발전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을 선정해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우선 지방시대를 열어 가기 위해 중앙정부의 권한부터 지방정부에 이양해야 하는 이유다. 이철우 전국 시도지사 회장이 주장해온 지방시대 첫째 조건이기도 하다.  지금 지방이 무너지고 있다. 일부 지자체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지정에 몰두하고 있다. 3년간 200억 원이 지원되는 사업이지만 이런 사업들은 인구소멸과 지방균형발전에 근본적인 대책은 될 수 없다. 지방시대를 주도하는 이철우 도지사가 촉구한 중앙정부 권한 지방 이양만이 살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