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고립과 은둔의 굴레에 갇힌 청년의 75%는 자살을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면서도 10명 중 8명은 고립에서 벗어나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전국 단위로 처음 실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 조사` 내용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도 나왔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은 있었지만 중앙정부 차원에서 범정부 대책이 나오기는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는 전국 19∼39세 대면 접촉을 꺼리는 청년 2만1천360명이 끝까지 응답에 참여했다. 이 응답자의 2명 중 1명꼴은 신체와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75.4%는 자살을 생각했다고 답했다. 전체 청년의 자살을 생각한 비율(2.3%)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고립·은둔 청년 가운데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길 원한다고 답한 비율은 무려 80.8%에 달했다. 그런데 일상생활 복귀를 시도했다가 실패해 다시 숨어버린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도 절반가량(45.6%)이나 됐다. 고립과 은둔을 선택한 이유로는 취업 관련 어려움(24.1%)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대인관계(23.5%), 가족관계(12.4%) 등을 꼽았다.   정부는 사회활동이 현저히 줄어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 힘든 `고립 청년`이 54만명, 이들 중 사회활동을 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 스스로를 가둔 `은둔 청년`이 24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이렇게 고립·은둔 청년 문제가 심각해진 데는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사회적 관계 안전망이 약해진 데다 청년 구직난이 악화한 영향이 크다고 한다. 정부는 온라인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원스톱 상담창구`를 마련해 상시로 고립·은둔 청년을 발굴하고 전담 관리사를 투입해 이들의 사회 적응과 취업 의욕을 돕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예방, 발굴, 사후관리에 이르는 전방위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고립과 은둔 상태에 빠진 청년들은 진학이나 취업 실패, 가족관계 단절 등 각자의 문제를 안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를 오롯이 개인의 문제라고 할 수 없다. 치열한 경쟁에서 일시적으로 낙오한 이들이 자포자기해 세상과 단절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 우리 사회와 공동체의 책임이 더 크다. 무엇보다 젊은이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더 많은 사회적 기회를 줘야 한다. 연합뉴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