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양수장 발전 사업자 선정 발표가 임박해지자 해당 지자체는 초조한 분위기다. 27일 경북 영양군(한수원)과 봉화군(중부발전)을 비롯한 전국에서 6개 지역에서 경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전력 당국이 신규 양수발전 사업자 최종 선정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지자체와 발전 공기업들의 열띤 유치전에 당초 계획보다 한 달 이상 연기된 상황에서 행정 절차까지 마무리하면 최종 발표가 해를 넘길 가능성도 없지 않지만 한국전력거래소 등을 거쳐 심사 결과가 얼마나 빨리 취합돼 정부에 오느냐에 따라 금주에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양수발전 사업 우선순위심사위원회를 열고 최종 후보지를 결정에 들어갔다.현재 지자체와 협의해 신규 양수발전 사업을 노리는 발전 공기업은 금산군(남동발전), 봉화군(중부발전), 구례군(중부발전), 곡성군(동서발전), 영양군(한수원), 합천군(한수원) 등 4개사와 6개 지자체다. 이 가운데 영양군이 추진해온 영양양수발전소는 양수발전에 천혜의 조건을 갖춘 최적지로 한수원이 영양군과 MOU를 체결하고 1순위로 추천해 확정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양수발전은 상하부 댐의 낙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저장하는 방식으로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아래 저수지의 물을 위로 끌어올리고 전력 수요가 증가할 때 상부 댐의 수력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배터리 기반의 ESS 개념을 확대해 대용량이면서 긴 주기의 저장설비로 활용할 수 있어 자연 에너지 저장장치(ESS)로 꼽힌다.1곳에 1조 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 사업과 동시에 관광지로도 활용이 가능해 화력발전 위주인 발전 공기업들의 탈석탄 기조와도 궤를 같이할 수 있다. 지자체는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양수발전을 짓고 지역 우수 인재 육성, 기숙사 마련, 교육 인프라 개선, 장학사업 등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지자체들이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현재 국내에 양수발전소를 운영하거나 건설 중인 곳은 경기·강원·충북·경북·경남·전북에 11개 지역이며 총 규모는 8.6GW다. 해당 시설은 한수원이 2010년 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들의 양수발전 사업부문을 흡수 통합한 이후 관리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