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砂)란 용어는 옛날 지리를 가르칠 때 종이와 붓이 귀하기 때문에 대신 모래로 산(山) 모양을 만들어 설명 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사(砂)는 혈장의 전후좌우에 있는 모든 산과 바위를 통 털어 일컫는 말로서 일반적으로는 사신사(현무, 주작, 청룡, 백호)를 말함이며 더 나아가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나성(羅城)과 물이 나가는 수구에 있는 한문(捍門), 화표(華表), 북진(北辰) 그리고 혈장 주위의 선익(蟬翼), 연익(燕翼), 하수사(下水砂), 사성(鬼, 官, 曜, 禽), 및 주위의 건물까지도 포함된다. 현무는 혈장 뒤편의 사(砂)이고 주작은 혈장 앞의 안산이며, 청룡은 혈장의 좌측, 백호는 우측의 사(砂)를 말한다.   사신사는 원래 주룡의 보호차원에서 장풍(藏風)과 득수(得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고 혈을 결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주위의 사(砂)이다. 길지란 우선적으로 용과 혈이 좋아야 하고 그다음 주위 사격(山)의 모양이 좋아야 한다. 용과 혈이 고귀하면 주변에 귀한 사격이 있기 마련이고 용과 혈이 천박하면 천한 사격이 있는 것이 풍수지리의 원칙이다. 따라서 혈장의 주변에 깨끗하고 아름다운 사격들이 있어야 길한 혈이 형성된다.    길혈의 조건에서는 또 한 가지 방위도 매우 중요시한다. 이법적으로 길한 방위에 좋은 사격이 있으면 혈의 발복을 도와주지만 흉한 방위에 나쁘게 생긴 사격이 있으면 온갖 재앙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사의 종류와 모양 그리고 방위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 풍수에서 사세론(砂勢論)이다.   풍수의 목적은 생기를 타기 위함인데 옛『葬經』에서도 논하고 있는 것처럼 생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진다 하였으니 바람을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바람을 잘 갈무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혈장의 전후좌우에 사신사(북현무, 남주작, 좌청룡, 우백호)가 필요하게 되고 사신사가 없어 혈을 감싸주지 못하는 곳은 혈의 생기를 보호할 수가 없으므로 진혈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풍수고서『葬書』에서는 장풍(藏風)에 필요한 사신사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무릇 장사를 지냄에 있어서 혈장의 왼쪽은 청룡, 오른쪽은 백호, 앞을 주작, 뒤를 현무로 삼는다. 현무는 머리를 드리운 듯해야 하고, 주작은 날개를 펴 춤을 추듯 날고, 청룡은 꿈틀거리듯 나아가야 하며, 백호는 마치 호랑이가 걸터앉아 있는듯해야 한다. 만약 형세가 이와 반대가 되면 당연히 집안이 망하고 사람이 죽음을 당하는 법이다.    그러므로 백호가 몸을 되돌려 있는 것은 시신을 물어뜯기 위한 것이고, 청룡이 웅크리고 있으면 주인을 시기함이며, 현무가 똑바로 드리우지 않는 것은 시신을 거부하는 것이며, 주작이 춤추듯 맑고 밝지 않으면 높이 날아서 가버린다.” 하여 이것은 주위의 산맥이 혈장과 명당을 향하여 집중하고 호위하는 듯한 상태를 취하고 있어야 된다는 말이다. 이처럼 사신사는 생긴 모양과 위치에 따라 혈장의 길흉화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장풍(藏風)국을 이루어 혈장의 생기 보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격(山)들이기에 풍수에서는 용, 혈과 함께 매우 중요시하는 분야이다. 그러므로 진혈의 조건에는 혈장 앞쪽의 물과 함께 전후좌우의 산이 필수조건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