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수업 시간 전인 오전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원하는 모든 초등학생에게 다양한 방과후·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이달부터 본격 확대돼 시행된다. 오는 4∼5일부터 전국 2천741개 학교에서 시행된 뒤 2학기엔 6천여개 전국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된다. 늘봄학교 `누구나 이용` 대상은 올해는 초등 1학년, 내년에는 초등 1∼2학년, 2026년엔 초등 1∼6학년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늘봄학교는 그간 분절적으로 운영된 방과후 학교와 돌봄을 통합한 것으로 성과가 주목된다.   기존 초등학교 방과후·돌봄 체제에선 맞벌이 등 우선순위를 따지거나 추첨으로 선정됐지만, 앞으론 그런 과정 없이 원하는 경우 모두 늘봄학교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학교 수업 뒤 수익자 부담 원칙하에 다양한 문화, 체육 등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성공적으로 안착만 될 수 있다면, 의미가 작지 않은 정책이다. 합계출산율이 전세계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저출생의 요인으로 돌봄 공백과 사교육비 부담이 꼽혀 온 현실을 감안할 땐 더욱 그렇다.   늘봄학교는 그간 부모가 맡아 왔던 자녀 돌봄을 공적 영역, 나아가 `국가 돌봄`으로 확대하는 의미가 있다. 잘 정착한다면 저출생 문제는 물론 부모의 경력 단절을 막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공적 영역 역할이 확대되면 가파르게 올라간 사교육비 증가도 막는 데 도움 될 수 있다. 성공적인 안착을 기대하고 주목하는 이유다. 늘봄학교가 소기의 목적을 거두기 위해선 디테일이 중요하다. 높은 기대에도 교육 현장에선 우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달 늘봄학교 추진방안이 발표된 뒤 교원단체에선 졸속 정책 강행이라는 반발이나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부는 업무 부담이 기존 교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올 1학기 과도기적으로 2천여명의 기간제 교원을 선발해 늘봄학교에 배치하는 등의 대책을 밝혔지만 교사나 학교 행정직 공무원들의 우려는 여전한 분위기다. 늘봄학교가 알차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이 정책의 성패를 가를 핵심 과제이다. 또 안전사고 예방 대책을 다시 점검하고 우수한 인력 확보와 교육 공간도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 중앙과 지방정부, 교육당국, 학교 구성원 모두가 이 정책의 성공적 안착에 힘을 모으길 바란다. 연합뉴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