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이 침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나 4·10 총선에 부동산 대책공약은 없다. 아파트값이 하락하는 반면, 전셋값은 상승하면서 매맷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줄자 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부동산 업체에 따르면 수도권의 전용면적 75㎡ 아파트가 지난해 12월 3억 원에 매매된 뒤 바로 2억7000만 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세금 등 비용을 제외하게 되면 3000만 원에 아파트를 매입한 것이다. 이 아파트 해당 면적은 2021년 7월 4억1700만 원에 최고가를 기록했는데, 당시 전세 시세는 1억9000만 원가량으로 갭투자를 위해서는 2억2000만 원가량이 필요했다. 매맷값이 내리고 전셋값이 오르면서 갭투자 비용이 크게 줄었다. 서울 ‘송파 아파트’ 전용 83㎡도 지난 1월 7억8000만 원에 거래된 뒤 3주 만에 5억7000만 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매수자는 2억1000만 원으로 서울 아파트를 사들인 셈이다.   대구와 경북권 중소도시에도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가 적은 주택을 매입, 단기간에 시세차익을 노리는 갭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전국에서 최근 6개월 동안 이런 갭투자 매매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화성시(147건)였다. 이 기간 2783건의 아파트 거래 가운데 5.3%가 갭투자로 나타났다. 충남 천안시 서북구(147건), 경남 김해시(132건), 충남 아산시(127건), 인천 서구(125건)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노원구(73건), 송파구(60건), 강동구(59건) 등에서 갭투자가 많았다. 실제 갭투자 사례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매매가 이뤄진 뒤 곧바로(3개월 이내) 해당 가구에 전·월세 계약이 체결되면 갭투자로 분류할 수 있다.   매맷값과 전셋값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장기화할 경우 갭투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총선 이후 금리 인하 등으로 매수 심리가 회복된다면 갭투자가 다시 증가할 수 있다. 전세보증금을 레버리지로 활용해 적은 투자금으로 아파트를 매수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갭투자가 증가추세에 있으나 정치권은 부동산 대책이 미미하다. 부동산 정책에 실패한 야당은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겠지만 집권 여당은 침체 된 부동산을 목격하고도 왜 대책이 없는가. 부동산 장기침체 장기화로 서민들만 직격탄을 맞고 있다. 어렵게 마련한 집 한 채가 통째로 날릴 판인데 갭투자가 효자 노릇을 하는 꼴이 되니 기가 막힌다. 4·10 총선은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 시 킬 정책을 제시한 정당에 표를 던질 수밖에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