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벚꽃이 피었다사람들이 갑자기 없어지고빈집처럼산벚나무 아래 앉는다산길 아래보였다가 숨어버리는네 모습 따라 산벚꽃 따라가고꽃이 멀어지니덜 아프고덜 그리워라기다리는 나는 없어지고빈 집에산벚꽃이 푹푹 빠진다 -문형렬, `산벚나무 아래`     문형렬은 시인겸 소설가요, 또한 동화작가이고 화가다. 다재다능한 팔방미인인 셈이다.   시인의 1982년도 `조선일보 신춘문예` 동기인 정호승 시인은 문형렬 시인을 두고 `설산의 눈부신 이마 같은 사랑의 시를 쓰는 시인이`라고 평했다.   그렇다. 그는 애절한 사랑의 시!를 쓰는 시인이다. 필자는 최근에 그가 보내준 시집, `해가 지면 울고 싶다`를 읽으며 아름답지만 고통스러운 그 사랑의 시편들에, 한순간 마음을 뺐겨 가슴이 먹먹해져 오는 감정에 사로잡히기도 했다.  시인은 왜 고통스러운 사랑의 이미지를 가슴 저릿하게 노래하고 있을까? 생각하면 세상의 모든 시인들은 사랑의 예찬자들, 사랑에 중독된 자들이 아닌가.  `산벚나무 아래` 작품도 역시 그렇다. 한편의 아름다운 수묵화(여백이 많다. 의미를 숨겨 논)처럼 애절한 분위기의 사랑의 시로 독자들을 매혹시킨다. 그의 사랑 시는 깊은 울음을 준다.  `산 벚꽃이 피었다/ 사람들이 갑자기 없어지고/ 빈 집처럼/ 산벚나무 아래 앉는다`  화자는 화사한 산벚꽃이 흐드러지게 만개한 산속, 꽃나무 아래 꽃처럼 벚꽃과 함께 앉아 있다. (연인이야 곁에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그런데 산벚꽃이 만개했는데 왜 사람들이 갑자기 없어졌을까? 왜 갑자기 쓸쓸해졌을까? 갑자기 고독한 화자의 모습은 왜일까? 이유는 멀리 산길 아래로 떠나는 연인의 모습이 보인다.`꽃이 멀어지니/ 덜 아프고/ 덜 그리워라` 님이 떠나니 기다리는 내가 없어진다.   쓸쓸한 빈집이다. 깊은 산속, 산벚꽃만 무릎까지 푹푹 빠진다.`빈 집에/산벚꽃이 푹푹 빠진다` 아름답다. 고요 속에 날이 저문다.산벚꽃이 진다. 사랑이 왔다 간다. 아 님은 갔습니다.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산벚꽃 나무 아래로. 사랑의 고통과 환희는 오늘도 우리 가슴에 노래로 산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