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3일이면 독일이 통일 20주년을 맞는다. 통일3년전 미국의 레이건대통령이 서독을 방문,브란덴부르그 문앞에서 그 유명한 “코르바쵸프대통령! 이문을 허무시오”라는 연설을 할 때만 해도 굳게 닫혀 열릴 줄 몰랐던 베르린 장벽은 1989년11월9일 동독의 성난 군중들에 의해 힘없이 무너졌다. 무너진 장벽을 넘어 동베르린은 물론 동독전역의 군중들은 기차와 버스, 자전거를 타고, 걸어서 서독으로 향했고 자유를 향한 대행진에 소련의 코르바쵸프도 두손을 들고 말았다. 독일의 통일은 그렇게 갑자기 이루어 졌다. 얼마전 이명박대통령은 우리도 이제는 통일에 대비, 통일세를 신설하는 문제를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일독일을 보며, 언젠가는 우리에게도 닥칠 통일문제를 더 이상 미룰 수는 없다는 생각일 것이다. 그것은 통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지금도 많은 내홍을 겪고 있는 독일을 보면 이해가 된다. 통일전, 동독의 실업율은 20%대 였으나 지금은 11%대로 크게 낮아졌지만 서독지역과는 여전히 6~7%의 격차를 두고 있다. 총생산도 2배이상 늘어났지만 소득은 서독의 80%수준이다. 통일당시 1천8백만명이던 인구는 1천6백만명대로 줄어 매년 수만명이 서독으로 뺘져 나가고 있다. 6~8년이면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경제적, 내적 통합은 앞으로도 15~20년은 더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사회적 갈등은 더욱 심해 동독인은 서독인을 거드름 피우고 잘난 척하는 ‘베시’라고 부르는가하면 서독인은 동독인을 게으르고 불만에 찬 ‘오시’라고 멸시한다. 동독인들은 오히려 사회안전망,인간관계, 교육, 사회정의, 의료보험, 양성펑등 면에선 동독시절이 낫다고 말한다. 매년 총생산의 4%를 동독에 쏟아 붓지만 50년 후에나 양지역의 평준이 실현될 것이란 전망을 보면 우리의 통일정책은 서독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부문이 많다 우리도 이미 통일문제에 대한T/F팀이 구성돼 활동을 시작, 오는 연말이면 보고서가 작성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통일논의에 앞서 꼭 짚어야 할 문제가 있다. 그것은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이다. 우리나라도 오는 10월4일이면 인구 5천만 시대를 맞는다고 한다. 북한과 합치면 7천만 규모로 독일과 비슷하다. 선진국으로 들어서 세계강국이 될 요건을 갖춘 것이다. 국제여건도 우리의 도약을 인정하고 있다. 그 계기를 인구 5천만시대와 맞추면 어떨까. 우리의 5천만 속에는 2만의 탈북자가 있고 1백20만의 외국인이 다문화 가정을 이루고 있다. 당연히 내부적 통합을 이뤄 국력을 한군데로 모아야 한다. 공정한 사회도 선진사회로 가는 길이다. 탈북자, 다문화가정의 인간관계와 교육, 균등한 기회부여, 각종 사회보장, 복지등의 개선도 당연하다. 지역간, 세대간 보혁간 갈등도 이싯점에서 우리가 뒤돌아 보고 짚고 넘어야 할 산이다. 5천만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돼 비정상적인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는 편중과 지방의 상대적 소외도 우리의 선진국 도약의 걸림돌이다. 국격은 소득이 높다고 갖춰지는 것은 아니다. 선진국에 맞는 국민적 각성으로 그로벌 스텐다드를 이뤄야 한다. 반만년 역사와 전통을 자존심으로 긍지로 삼아 선진의 길을 열어야 한다. 그 길을 위해선 소모적 정쟁을 지양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위치를 생각해야 한다. 5천만이 먹고 살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하고 통일후의 국가경영도 준비해야 한다. 인구 5천만시대에 풀어야 할 과제이다. 한반도의 정세는 여전히 불안하다. 북한은 권력세습에 매몰돼있고 여전히 핵개발과 천안함사태로 인해 대화의 길은 막혀 있다. 주변국은 한반도문제를 자국의 이익에 맞추고 있다. 그들에게 있어 한반도의 통일은 원하는 바가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 시점에 통일과 선진국도약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 한다. 반만년만에 ,최근 50여년동안 유일하게 외침없이 번영의 길을 걸어온 역사적 황금기를 놓쳐서는 안된다 기회는 왔을때 붙잡아야 한다. 변 린(객원 논설위원. 수필가 )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