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북 행정통합 열차 출발이 요란하다. 계획대로 라면 2026년 지방선거에서 행정통합단체장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초대 통합단체장에 이철우 도지사와 홍준표 시장이 유력하지만 둘 다 대권 잠룡으로써 교통정리가 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다. 정치권도 행정통합이 시작 단계인데 성급한 판단이 될지 몰라도 이철우 도지사와 홍준표 시장은 대권 잠룡으로서 어느 한쪽이 대권 도전을 선언하게 되면 한 사람은 자연스럽게 초대 통합단체장으로서 500만 시도민의 희망인 지방시대를 확실하게 주도하게 될 것으로 점쳤다. 대구 경북 행정통합 열차는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공식화한 이후 양쪽 실무자 접촉에 이어 지난 23일 구체적 통합 추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단(TF) 첫 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실무단은 인력과 자본이 몰리는 수도권에 대응할 대한민국 제2의 통합광역지자체 출범을 위해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대구·경북 통합은 대통령이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 지원할 것을 지시했으며, 행정안전부도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행정 체제 개편 카드를 꺼내든 상황이다.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신속한 실무적 절차와 준비 방안 논의가 구체적이므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행정통합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우동기 지방시대 위원장은 통합 의지를 확인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첫 번째 4자 회동도 제안했다. 만남의 장소는 경북도지사실이 될지 조율 중이다. 대구 경북 행정통합은 이철우 경북지사 의지로 이미 2019년부터 추진 돼 왔다. 이번 실무단 회의에서도 그동안 대구경북행정통합 추진 경과를 공유했고 향후 통합방향과 주요 아젠다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이 돼야 한다는 데에 대구‧경북의 의견 일치는 실무진의 첫 만남의 큰 성과다. 대구 경북 통합추진단 설치 필요성도 공감했다. 통합 광역단체의 명칭, 위상과 기능, 광역·기초단체 간 사무 분담, 조세와 재정 관계의 재설정 등 특별법에 담아야 할 내용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해서다. 총론에서는 행정통합이 된 것과 다름없다. 각론에서도 일사천리가 돼야 한다. 저출생 극복과 확실한 지방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인구 500만의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도약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권 잠룡 이철우 도지사와 홍준표 시장의 운명이 걸린 대구 경북 행정통합이 성공해야 하는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