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일부 부처 장·차관 교체 준비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편 시기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외교 일정이 끝난 뒤가 거론되고 있으며, 이르면 이달 말 혹은 내달 중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장·차관이 재임한 지 오래된 부처들부터 교체 대상으로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소야대 지형이 심화한 가운데 인사청문회 부담도 커진 만큼 장관 교체 폭을 너무 키우기는 어렵다는 관측과, 차관급 인사로 공직사회 분위기를 먼저 일신하고 이후 장관 인사를 하는 연쇄 개편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고 한다.시기와 폭, 후보자군 등은 좀 더 시간이 지나야 윤곽을 드러내겠지만, 이번 내각 개편은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 의지와 방향을 엿보고 국민이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무엇보다 인사 쇄신을 통해 4·10 총선 참패 이후 약화한 국정 동력을 회복할 계기로 만들어야 하는 게 여권의 당면 과제다. 업무수행 능력, 전문성, 추진력은 물론 대국민 소통 마인드까지 겸비한 후보군을 찾는 게 급선무다.집권 3년차에 들어간 이제부터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 온 정책과 국정과제의 본격적인 성과를 내야 할 시기다. 이를 위해 공직사회의 분위기를 다잡고 조직을 다독이며 정책을 강단 있게 끌고 갈 인사들의 발탁도 필요하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후보 대상이 되는 분들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다 검토를 해서 국민을 위해서 제대로 일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서 인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 말처럼 준비하면 된다. 대통령실은 '내편 네편' 가리지 말고 폭넓은 범위에서 장·차관 후보들을 물색해 보기 바란다. '회전문 인사'라는 지적이 또다시 나와서도 안 된다.개각이 불필요한 정치적 논란을 야기해 의미가 퇴색되는 일도 경계해야 한다. 총선 이후 대통령실 인적 개편 과정에서 낙선·낙천한 인사들이 잇따라 합류하며 대통령 참모진 구성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장·차관 교체 인사에서 비슷한 논란이 반복돼선 곤란하다. 그렇게 된다면 내각 개편이 변화와 쇄신의 의지를 드러낼 기회도, 국정 동력을 회복할 계기도 되기 쉽지 않을 것이다. 누가 봐도 달라진 인사 스타일, 국민이 보기에 새로운 기대를 낳을 수 있는 개각이 이뤄지도록 참모들이 준비 작업에 매진해 주길 바란다. 총선 직후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국무총리 후임자 물색도 속도를 내야 한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