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고준위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 답답하다는 반응이다. 지난해 직제개편으로 만반의 준비를 해놓았으나 돌아가는 판세가 녹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밤새도록 환하게 전기를 밝혀둔 국회의사당은 어디서 전력이 공급되는지 밝혀야 할 때다.
 
원자력 발전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에너지이다. 전력 소비가 많은 여름철 블랙아웃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고준위 특별법제정 요구는 원내가 아닌 더 좋은 사용후핵연료 처리 기술력이 하루빨리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국회의원 양반들은 원자력이 전력을 생산하게 되면 핵폐기물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모양이다. 몰랐다면 무능한 의원이고 알고 있으면서 외면했으면 역사에 죄인이다. 원자력으로 전력을 생산하게 되면 폐기물이 나온다는 사실을 국회의원만 모르고 있다.
  문제는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법적 뒷받침이 없어 원전 안에 쌓이고 있지 않는가. 고준위 폐기물이란 한마디로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 또는 핵연료의 재처리과정에서 발생한 방사선의 세기가 강한 폐기물을 일컫는다. 흔히 사용후핵연료라고 부르기도 한다. 핵폐기물에는 제논, 세슘, 핵분열 생성물의 농축 폐액이나 플루토늄 등의 초우라늄 원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맹독성 방사성 물질에 포함되기 때문에 몹시 위험하다. 강한 방사선과 높은 열을 방출하므로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도록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런 위험 성분의 폐기물이 원전 내에 쌓이고 있음에도 여소야대 국회는 특검법 같은 엉뚱 한데에 신경 쓰고 방치해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자인 한국 원자력환경공단은 답답함을 토로했다. 특별법제정에 대비해 지난해 6월 전문사업부 조직을 확대 개편하고 1년을 기다렸으나 절망적인 소식만 날아와 허탈해하고 있다. 당장 법안이 통과되어도 부지선정, 지하연구시설 확보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만약 21대 국회에서 조기에 처리되지 않을 시 고준위 폐기물은 포화상태에서 막대한 피해를 가져오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고준위 폐기물이 넘쳐나는데도 속수무책이다. 국회가 조속히 고준위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하는 이유다. 고준위추진단을 '고준위 사업본부'로 확대 재편한 원자력환경공단은 국가 방폐물 관리 전담기관으로서 포기하지 말고 법 통과 때까지 준비에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중저준위 방폐물을 관리하고 있는 노하우가 추적된 기관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