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전 국민 25만 원 지원법과 노란 봉투법을 일방 표결 처리했다.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의 고성 항의가 이어졌고 정 위원장은 "차라리 국회를 해산하라"며 국민의힘 의원과 다툼이 도를 넘었다.  이를 지켜본 국민들은 22대 국회가 개원식도 없이 난장판이 계속되고 있는데 싸움판의 주인공이 적반하장으로 국회 해산 언급한 데 대해서는 반갑다는 반응이다. 대다수 국민들은 민생은 없고 특검만 있는 22대 국회는 해산이 빠를수록 국민들의 고통을 덜어준다며 불만이 쏟아진다.   사태의 발단은 지난달 3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4년 민생 회복지원금 지급을 위한 특별조치법안'(전 국민 25만 원 지원법)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노란 봉투법)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불거졌다.  문제의 전 국민 25만 원 지원법은 민주당의 22대 국회 1호 당론 법안으로 이재명 전 대표의 총선 공약이기도 하다. 노란봉투법은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고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도록 한 것이다. 이미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이다. 국민의힘이 표결을 앞두고 민주당 소속 정청래 법사위원장에게 충분한 토론권을 보장하라고 요구해 대체 토론이 진행됐다. 이어 정청래 위원장이 법안을 표결에 부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토론권을 더 보장하라면서 반발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 위원장 자리로 몰려가 "거부권 유도냐", "일방적 토론 종결은 입법 독재", "나라 망신시키며 이렇게 가면 안 된다"라며 항의를 이어갔다.   민주당 의원들은 여당 의원들을 향해 "민생회복 반대당, 민생지원 반대당", "경제를 다 망쳐 놓고 말이 많다"고 소리쳤다. 정 위원장이 여당의 항의에 "퇴거 명령을 하겠다"고 경고하자, 국민의힘 의원은 "무슨 퇴거 명령이냐. 지가뭔데"라고 말했다.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은 "지금 국민들이 위원장의 이와 같은 회의 진행에 대해서 끊임없이 비판한다"며 "언론에서 (정 위원장을 향해) '빌런'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맞섰다.   여당 항의에 정 위원장은 "차라리 국회를 해산하라"며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폭주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라고 했다. 타협 없는 싸움판 국회를 목격한 국민들은 울분이 터진다. 사태 수습은 국회 해산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