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계가 수술대에 올라 몸살을 앓고 있다. 파리 올림픽에서 배드민턴에서 금메달을 딴 안세영(22)의 '작심 발언' 후유증이 체육계를 강타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논란이 된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대해 중간 조사 결과를 보면 기가 막힌다.   이번 조사에서 국가대표 선수들 대부분이 현재 협회의 후원 계약 체계에 불만을 품고 있는 걸로 드러났다. 협회의 후원 용품 '페이백'과 일부 임원의 규정을 위반한 성공보수 수령 등 부정행위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문체부는 국가대표 선수단 48명 중 현재까지 22명의 의견을 청취한 결과, 선수단 모두 라켓과 신발 등 경기력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용품은 본인이 원하는 용품을 사용하길 희망하고 있으나 배드민턴협회는 선수들에게 후원사 용품을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유니폼 뿐만 아니라 신발과 라켓 등 신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물품까지 의무 사용하게 해서 안세영이 이에 대한 불만을 품었다. 문체부에 따르면 미국, 일본, 프랑스는 경기력에 직결되는 용품 사용을 강제하지 않으며, 덴마크는 신발 및 라켓에 대한 권리는 선수 소유임을 명시하고 있다. 중국이 우리나라와 같은 방식으로 용품 사용을 강제한다고 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는 후원사가 요구한 게 아니고 협회가 요구한 방식"이라며 "다른 종목 단체는 품목 별로 후원 계약을 여러 업체와 맺는 등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드민턴협회는 과거 후원 계약에 전체 후원금의 일정 비율을 국가대표 선수단에게 배분하도록 명시했던 규정을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후원사가 아닌 다른 업체와 후원 계약을 맺었던 2017년엔 전체 후원금의 20%(연 72만2000달러)를 선수들에게 배분하는 규정이 존재했으나, 2021년 6월 이 조항을 없앴다.   당시 선수단 의견을 전혀 수렴하지 않았으며 대다수 선수들이 이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가 문체부의 의견 청취 과정에서 알게 됐다고 한다. 또, 협회는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 달성시 후원사가 선수에게 직접 보너스를 지급하도록 한 규정도 변경했다.   문체부의 보조금을 받아 진행하는 사업에서 일부 임원들의 비리 의혹도 드러났다. 체육계 한 인사는 배드민턴뿐 아니라 체육계의 비리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했다. 체육 발전을 위해 내려진 보조금은 임원 개인이 착복했다면 횡령이다. 체육계의 대수술이 필요한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