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관련 사범은 여전히 활개치고 있다. 범정부적인 대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효과적인 해결책 부재가 문제가 있다. 전쟁을 끝내기 위해선 반드시 근본적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마약은 문화에서 비롯된 호기심, 마음만 먹으면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다는 환경 등이 위험 요소다. 통계에 의하면 실제로 최근 10년간 검거된 청소년 마약 사범(전국)은 총 2540명에 달한다고 한다. 검거 인원의 증가율만 놓고 보면 전체 연령대 중 10대가 가장 컸다. 10년 전 43명이었던 청소년 마약 사범은 꾸준히 늘다가 2022년 294명이 검거됐다. 지난해에는 1066명으로 폭증했다. 청소년 마약 사범 가운데 10대 청소년이 마약으로부터 위협이 크다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어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마약 청정국'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총성 없는 종전이 절실한 이유다.
  마약과의 전쟁(War on Drugs)은 베트남 전쟁 시기에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마약을 공공의 적으로 선포하면서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민주당과 공화당을 막론하고 닉슨 이후에 등장한 모든 대통령들이 이 정책을 유지했다. 특히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과 조지 H. W. 부시는 마약과의 전쟁을 더 심화시켰고, 커트 코베인의 죽음으로 인해 민주당인 빌 클린턴마저 가담했다. 이 정책은 결과적으로 마약 이용자를 전혀 줄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아예 비폭력범죄자들을 늘려놨다.
  이런 와중에 마약 청정국 우리 사회도 마약이 사회악이 되고 있다. 마약이 활개 치는 것은 밀거래를 소재로 한 영화, OTT 서비스 등의 콘텐츠가 대거 나온 데가 있다. 청소년에게 '마약'의 경계심을 허문 요소들이 너무 많다. 전문가들도 범람하는 마약을 소재로 한 문화들이 사회적 정서상 불법의 경계를 느슨하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SNS를 통해 음식, 장소, 챌린지, 콘텐츠 등 유행하는 문화를 빠르게 수용하고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데 능숙한 청소년들은 마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문화에서 비롯된 호기심, 마음만 먹으면 온라인에서 구할 수 있다는 환경 등이 위험 요소다.
청소년 마약 문제가 사회를 강타하고 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선 교육, 처벌, 치료 등을 총체적으로 깊이 있게 다룬 해결책이 절실하다. 마약과 전쟁은 언제쯤 끝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