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웠던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이 사실로 드러나면서 이번 일이 몰고올 파장을 놓고도 다양한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외교안보 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23일(현지시간)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왜 중요한가' 제하의 기사에서 파병된 북한 병력의 전투능력 등에 의문이 존재하긴 하지만, 북한군의 파병은 2년 반 넘게 우크라전의 수렁에 빠져 있는 러시아를 구하는 동시에 한반도의 군사 균형도 바꿔 놓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FP는 우선 한국 정보 당국의 설명을 인용, 징집병이나 죄수들로 이뤄진 러시아 병력과 달리 파병된 북한 병력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잘 준비된 최정예 특수부대 소속인 것에 주목했다. 이들이 비록 처음 경험하는 현대전과 러시아어로 이뤄지는 지휘 체계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는 있겠지만 특히 침투 작전에서 뛰어난 역량을 갖추고 있는 만큼 단순한 '총알받이'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FP는 러시아가 북한군 파병으로 쿠르스크 지역에 상대적으로 뛰어난 역량을 갖춘 새로운 부대를 수혈함으로써 정체된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스크를 넘어 자포리자와 드니프로까지 깊숙이 진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FP는 아울러 북한이 이미 수백만 발의 포탄을 러시아에 제공하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해 왔지만 실제 병력을 보내는 것은 북러 관계의 속성에 있어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라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된 북한은 경제적, 군사적 측면 등에서 러시아의 추가 지원을 끌어낼 수 있고, 그동안 절실했던 현대전에 대한 직접 전투 경험을 얻어 한반도에서 더 큰 '장난'(mischief)을 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우려했다.FP는 또한 한국 정부가 러시아 편에 파병된 북한 병력의 철수를 요구하면서 그동안의 입장과 달리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등 북한군 파병의 심각성을 우려하며, 대응에 부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북한 병사가 포로로 잡힐 경우 우크라이나 심문을 도울 수 있도록 통역관 파견까지 고려하고 있다면서, 이 경우 쿠르스크 전선은 남북한의 '대리전'으로 변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또한,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전투로 단련된 북한군 간부와 병력이 귀환할 경우 러시아의 부족한 병력을 보충하기 위한 절박한 움직임에서 시작된 이번 파병은 "단기적, 장기적으로 한반도의 군사 균형에 변화를 초래하는" 훨씬 더 큰 문제로 귀결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